기후변화협약의 이행계획인 교토의정서의 2월 16일 공식발효는 우리 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이제부터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을수록 기업이나 국가는 플러스 경영이 된다고 한다. 이산화탄소 등 6종의 온실가스를 줄여 기후 재해를 예방하는 절대적인 과제를 이행해야 하는 우리나라 기업들은 앞으로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환경기술이나 제도 면에서 준비를 철저히 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고, 정부와 기업과 소비자가 우리 경제생활의 3주체라고 할 때 시민들도 3분의 1의 역할은 맡아야 하는 것이다.

우리가 들여 마시는 공기는 안전한 농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잘 사는 사람이나 잘 사는 국가가 에너지를 많이 소비함으로써 이 공기 질을 나쁘게 만들어 왔다. 대기가 이산화탄소의 일정량만을 소화해낼 수 있다면 각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배출량은 같아야 공평한 것인데 잘 사는 사람의 생활방식 때문에 못 사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고통을 받아온 것이다. 2000년에 나온 한 자료를 보면 세계 인구 각자가 1년에 평균 4.21t까지만 배출할 책임이 있는데 미국인은 평균 19.53t, 인도 사람은 평균 0.81t을 방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미국인은 책임량을 초과한 15.32t을 사들여야 하고 인도인은 3.4t분을 팔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 거래에 따른 돈은 에너지를 많이 쓰는 부자 나라에서 에너지를 적게 쓰는 가난한 나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는 기후변화 정책이 되는 것이다.

선진국들도 손놓고 현재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물론 아닐 것이다. 에너지 소비량을 충족시키면서도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신 재생에너지를 개발하는 데 노력할 것이고 후진국은 국민의 생활의 질 향상이라는 이름으로 석탄, 석유 연료를 더 많이 쓰게 될 것이니까 배출권만 앉아서 팔 수 있는 입장이 유지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나라마다 기회와 위기의 초입에 서 있는 것이다. 에너지 과소비국으로서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사야 할 경우 우선 북한으로부터 사올 가능성도 내다보고 있다.

“50년 이상 걸려서 건설한 것을 72시간 만에 잃는 것” 이것이 기후 재해의 단면이다. 지구 온난화를 예방할 대체 에너지 개발과 정책은 기업과 정부가 주도하겠지만 지구를 덥지 않고 건강하게 하기 위해 개인도 무엇인가를 해야 하는가? 개인에게도 배출량이 앞으로 정해지면 초과와 부족분에 대해서는? 이를 각종 세금으로 연결시키게 될 것이니까 개인의 생활습관에도 수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연료를 적게 쓰려면 대중교통, 자전거, 걷기, 안되면 연비가 좋은 차를 이용하는 것, 환경 폐해가 많은 고기 덜 먹기, 식물을 많이 키우는 것, 소비절약, 재활용, 재사용, 녹색상품을 쓰는 일, 해를 집에 많이 끌어들이는 일 등을 미리 준비하고 실천해 보자.

이정자/

녹색미래 대표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