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호

명지대 석좌교수

우리의 교육발전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이 학벌에 대한 이중적 태도이다. 속으로는 누구나 자기 자식이 좋은 학교에 다니기를 원하고 좋은 학교에 다니는 사람들을 부러워한다. 그러면서도 공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학벌뿐 아니라 학력 중시 풍토까지 성토한다. 그러한 학력 경시 사회 분위기의 압력을 받아 공공 기관이나 기업들도 이제는 신입사원 지원 원서에서 학력란을 없애버리고 있다.

이것이 과연 합리적인 처사인가. 학력을 중시하는 것이 우리 사회 특유의 현상이며 배격되어야 할 악인가. 온 세계가 지식기반 사회의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우리도 정부가 고교평준화 제도를 고집하는 한편으로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우리 사회가 앓고 있는 분열증적 증세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 바로 교육 문제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때가 아닌가 싶다.

학력란 없앤다고 학벌 중시 사라지나

만약에 어떤 사람들이 실력도 없고 노력도 하지 않는데도 단지 어느 학교를 나왔다는 것만으로 평생 우대를 받는다면 그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다. 그리고 우리 전통 사회에서는 그런 현상이 드물지 않게 목도되기도 했다. 그러나 과연 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오늘날에도 그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일류 대학 간판이 출세 보장' 옛말

통계적으로 볼 때 이른바 일류 대학을 나온 사람들이 출세하는 비율이 높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명문대 졸업생이라 해서 다 잘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리고 사회에서 정말 큰 일을 한 사람들, 예를 들어 큰 부자나 대통령, 또는 유명한 예술가나 장인이 된 사람들 가운데는 좋은 학교 근처에도 가보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학벌이 곧 성공에 대한 보장이라 믿으며 고액 과외나 시험부정이라는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좋은 학교에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에 대한 부작용으로 다른 한편에서는 인재의 발탁 과정에서 학력에 대한 고려는 아예 없애야 된다고 밀어붙인다.

실력과 노력이 뒷받침돼야 성공

이러한 분열증적 현상이 심화되는 것은 파행을 거듭해온 입시제도 탓에 교육에 대한 신뢰가 근본적으로 흔들렸고 학벌과 학력과 실력 사이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혼란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생의 성패를 결정하는 것은 실력이지 표면에 나타난 학력이나 학벌이 아니다. 그리고 그 실력은 학력과 결코 무관할 수 없지만 시험 성적과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명문학교 졸업생들이 대체로 사회적 성공률이 높은 것은 그들의 입학과 졸업을 가능케 했던 성취동기와 실력, 성실한 노력의 자세를 그들이 일생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지 명문대학의 졸업장 때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요행의 변수 때문에 작은 점수 차이로 또는 부모의 경제력 부족으로 좋은 학교에 진학할 기회를 놓쳤던 사람들도 실력과 노력만 지속된다면 언젠가는 자기의 진가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되고 명문대 졸업생에 못지않은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기르지 못한 채 고액 과외나 시험 부정으로 점수를 사서 대학에 입학한 사람들은 아무리 학교 이름이 좋다 해도 인생이라는 복합적 게임에서는 결국 탈락할 확률이 높은 것도 같은 이치에서이다.

시험 점수 1점 차로 인생의 성패가 갈린다는 말은 착시현상일 뿐 진실은 아니다. 인생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학벌이 아니고 실력이며 학력은 실력에 대한 간접 증거가 되는 것이다.

cialis coupon free prescriptions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