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렸을 때는 지금 아이들 같지 않게 집에서 외할머니나 어머니께 듣고 배운 노래를 제법 많이 흥얼거렸던 것 같다. “하나 하면 할머니가 지팡이 짚고서 잘잘잘, 두울 하면 두부 장수 종을 친다고 잘잘잘, 세엣 하면 새색시가 화장을 한다고 잘잘잘…”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갯길을 꼬부랑 꼬부랑 넘어가고 있네. 꼬부랑 꼬부랑…” 지금도 기억하고 있는 노래들이다.

요즘은 노래에 나오는 것처럼 '꼬부랑 할머니'라고 불릴 만큼 심하게 허리가 굽은 어르신들을 거의 볼 수 없지만, 예전에는 동네에서 그런 분을 심심찮게 뵈었던 것 같다. 척추 신경이 압박을 받는 척추간 협착증이나 골다공증이 '꼬부랑 할머니'를 만드는 주범이라고 하는데, 완전히 기역자로 굽은 허리에 지팡이를 짚고 힘겹게 걸으시는 그 할머니를 만난 것은 며칠 전이었다.

1923년 생, 올해 여든 둘. 함경남도 고원군에서 태어나신 양춘옥 할머니가 중매로 시집을 가서 보니 남편은 몹쓸 노름꾼이었다. 시집갈 때 마련해 간 옷가지마저 내다 팔아서 노름으로 날리는 위인과 살아봤자 고생길이 훤하다는 생각에 3년이 채 되기 전에 미련 없이 떠났다. 친정으로 돌아와서는 곧바로 함흥제사(製絲)공장에 여공으로 들어가 8·15 광복 때까지 고된 노동을 했다.

8·15 광복에서 6·25 전쟁으로 이어지는 혼란한 시기에 어떻게 혈혈단신 남쪽으로 오셨는지는 전혀 알 수 없지만, 피란지인 부산 영도에서는 재봉틀로 구호품 의류를 수선해 자갈치시장에 내다 팔았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서울 남대문시장에서 옷 장사를 했다. 나중에는 포목상을 크게 하면서 서울역 뒤편 청파동에 자그마한 집도 마련했는데, 그만 남대문시장에 큰불이 나면서 장사 밑천을 모두 잃고 말았다는 이야기도 들려주셨다.

그 후 어느 재래시장 골목에 좌판을 벌여 놓고 각종 젓갈류와 밑반찬을 떼어다 파는 장사를 하며 무거운 반찬 함지를 머리에 이고 다니다 보니 허리에 무리가 갔고, 거기다가 눈길에 몇 번 넘어진 것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결국 허리가 완전히 망가진 거라고 하셨다.

몇 년 전 장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그 동안 모아놓은 돈으로 생활하면서, 공원에 나가 앉아있기도 하고 노인들에게 무료로 침을 놔주는 곳에 가끔 간다고 하셨다. 부양해 줄 자식 하나 없지만 열 평 남짓한 다 쓰러져 가는 집이 할머니 명의로 돼있어, 무료 양로원은 꿈도 못 꾸고 이제 더 나이 들고 몸이 나빠져 자리보전이라도 하게 되면 꼼짝없이 굶게 될 거라 말씀하시는 할머니. 글을 읽지 못 하는 할머니는 교회에서 받아온 설교 테이프 듣는 게 낙이라며 씩 웃으셨다.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를 나눠 보면 8.3% 정도가 정부의 도움 없이는 살 수 없는 분들이고, 약 50%는 동네 경로당을 출입하시는 분들, 그리고 30만 명 정도는 노인복지관에서 활동하시는 것으로 보고 있고, 그 외에 골프나 등산, 바둑을 즐기는 분들을 따로 떼어놓고 나면 나머지는 집이나 보호시설에 있는 노인분들이다. 양춘옥 할머니는 맨 마지막 구분에 해당되는 셈이다.

의지할 곳도 기댈 사람도 없지만 단지 자신의 이름으로 된 집이 한 채 있는 바람에 아무런 보호도 혜택도 받지 못하는 할머니. 이날 이때까지 혼자 살아와 특별히 쓸쓸할 것도 외로울 것도 없다고 하시는 할머니. 할머니의 굽은 허리 위에는 이 땅에서 남편 없이, 자식 없이, 가족 없이 홀로 살아내야 했던 한 여성의 80년 삶이 무겁게 얹혀있었다. 양춘옥 할머니의 기역자 굽은 허리가 내내 가슴에 남아 '너는 도대체 누굴 위해 노인복지를 하고 있는가'묻고 또 묻고있다.

유경/

사회복지사,

어르신사랑연구모임

cafe.daum.net/gerontology

treeappl@hanmail.net

cialis coupon free discount prescription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