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트 블란쳇 주연 영화 ‘타르’.
영화 ‘타르’. ⓒ 유니버설 픽쳐스

(※ 이 글은 영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가 낳은 세계적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는 생전에 단원들을 존중하는 민주적 리더십으로 정평이 났다. “지휘자는 명령하는 사람도 독재자도 아니다. 지휘자는 코디네이터다”라던 아바도의 말은 반권위주의 철학을 가졌던 지휘자의 생각을 드러낸다. 반면 노년의 거장 리카르도 무티는 “지휘자는 독재자로 보일만큼 확고한 주관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소신을 말한다. “지휘자는 작곡가의 수석 대표로서 독점적인 권위를 가져야 한다”는 무티는 오케스트라 전체에 대한 강력한 통제권을 요구하곤 한다.

영화 <타르>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 리디아 타르(케이트 블란쳇)는 무티를 능가하는 독재자형 지휘자이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최초의 여성 수석 지휘자로 나오는 그녀는 ‘마에스트라’가 아니라 ‘마에스트로’로 불리울 정도로 가부장적 남성성을 가진 인물로 표현되는 동성애자다. 지휘자로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던 타르는 타인들의 의견은 무시하고 자기 생각을 밀어붙이는 독단적 성격의 인물이다. 갑자기 부지휘자를 교체하기로 마음먹고 신중론을 펴는 의견들을 묵살하며 새로운 부지휘자를 공모한다. 정식 단원도 아니지만 자신이 편애하는 젊은 여성 첼리스트 올가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굳이 오디션까지 하면서 솔리스트로 발탁한다. 단원들은 타르의 독선에 반감을 가지면서도 그녀의 카리스마 앞에서 반발은 하지 못하고 불만은 쌓여간다.

그러나 아바도의 이런 말이 있다. “내가 모든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존중하면 그 존중은 다시 내게 돌아온다. 바로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타르는 아바도의 말과는 정반대의 경우였다. 단원들을 무시했던 태도, 부지휘자 자리를 원했던 비서 프란체스카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일, 타르에 대한 사람들의 반감은 쌓이고 쌓여 그녀를 하루 아침에 몰락의 내리막길로 들어서게 만든다. 크리스타의 자살 소식이 있은 이후 타르에게 불만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입을 열기 시작하고, 타르는 권력의 지위를 이용하여 젊은 여성들을 상대로 성착취를 일삼은 악녀로 내몰린다.

영화 ‘타르’. ⓒ 유니버설 픽쳐스
영화 ‘타르’. ⓒ 유니버설 픽쳐스

<타르>를 보고 난 사람들이 저마다 주는 평점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케이트 블란쳇의 압도적 연기. 물론 작품마다 다양한 캐릭터들을 소화해내는 블란쳇의 탁월한 연기력에 대한 찬사는 새삼스러운 것이다. <타르>에서도 블란쳇은 음악에 몰입하는 최고의 지휘자, 권위적이며 부도덕한 오케스트라 권력, 낭떠러지로 외롭게 추락하는 연약한 인간의 모습을 자유자재로 표현해낸다.

그렇다고 해서 <타르>를 보고나서 블란쳇의 연기 얘기만 하는 것은 영화가 담고 있는 여러 핵심들을 놓치는 일이다. 영화가 담고 있는 질문들은 단순하지 않고 철학적이다. 영화 앞 부분에 나오는 줄리어드 강의실에서의 타르와 학생 맥스의 설전은 이 영화의 핵심적 질문을 담고 있다. “여성혐오적 삶을 살았던 바흐의 음악을 인정할 수 없다”는 맥스를 향해 타르는 예술은 예술로 받아들이라고 반박한다. 예술적 성취는 예술가 개인의 삶과는 분리해서 평가되어야 하는 것인가.

예를 들자면 리하르트 바그너의 경우가 그러했다. 그는 욕망을 이루기 위해 권력자에게 머리를 조아렸고 돈에 탐닉했으며, 많은 여성들과 염문을 뿌렸다. 유대인을 혐오하여 히틀러의 추앙을 받기도 했던 것이 바그너의 삶이었다. 그 시대의 사람들은 그런 바그너를 가리켜 ‘처세의 달인’, ‘뻔뻔한 욕망의 인간’이라고 손가락질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음악을 좋아하는 대중들은 그런 ‘몹쓸 인간’ 바그너를 ‘천재 음악가’라고 칭송하며 ‘발퀴레’, ‘탄호이저’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비롯한 수많은 작품들을 사랑해왔다. 예술가의 부도덕한, 때로는 지탄받았던 삶이 그의 예술적 성취를 무(無)로 돌리지 못함은 논쟁의 문제가 아닌 역사 속의 현실이었다. 타르가 맥스의 바흐 얘기를 그토록 집요하게 반박한 것도, 장차 자신에게도 날아올 도덕적 비난들을 예감했기 때문일지 모르겠다. 

케이트 블란쳇 주연 영화 ‘타르’. ⓒ유니버설픽쳐스 제공
영화 ‘타르’. ⓒ유니버설픽쳐스 

영화를 본 여성들 가운데는 어쩐지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적지않다. 권력의 자리에 올라 온갖 횡포와 거래를 통해 부패해가는 모습은 우리가 흔하게 보아왔던 남성권력자들의 모습이 아니었던가. 하필이면 베를린 필 최초의 여성 지휘자를 그렇게 타락한 권력으로 설정했는가에 대한 거북한 마음이 생겨날 수 있다. 블란쳇이 페미니스트였음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배신감이 더 클 수도 있다. 여성 관객들 사이에서 ‘반여성적 영화’라는 얘기도 나오는 이유이다. 하지만 토드 필드 감독은 이에 대해 분명하게 말한다. “권력은 어떤 방식으로든 부패한다. 어느 누구도 이 명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건 여성인 리디아에게도 적용된다.” (<씨네21> 2023. 3. 2.) 토드 필드 감독은 남성권력이냐 여성권력이냐를 가리지 않고 권력일반의 모습을 영화에 담으려 했던 것이다. 여성권력이라고 무조건 착한 권력일 것이라는 기대는 리얼리티와 거리가 있음은, 가깝게는 우리 정치사만 보더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일이다.

<타르>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는 이분법적 도식에 갇히지 않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타르를 악으로만, 혹은 강자로만 해석하는 것은 일면적이다. 그녀는 오케스트라 권력이 되어 단원들의 반감을 사는 많은 행동들을 했지만, 그렇다고 몰락의 이유가 된 ‘성착취’ 같은 범죄행위까지 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평소 타르에게 반감을 가졌던 주변의 사람들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를 모함하며 악녀로 만들었던 흔적들이 영화에 나타난다. 세상 속 대개의 인물들이 그러하듯이, 타르 또한 선과 악, 강자와 약자 사이의 어디쯤엔가 서서 흔들리는 한 인간이었다. 유럽에서는 더 이상 활동할 수 없게 된 타르가 동남아시아의 작은 게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결말도 행복과 불행 가운데 어느 하나로 단정하는 것은 무모하다. 몰락한 권력자의 초라한 타향살이일 수도 있고, 음악적 열정을 지키는 새로운 출발일 수도 있다. 이분법에 갇히지 않고 타르를 한 인간의 모습 자체로 이해하는 것이 <타르>에 대한 최선의 감상법이 아닐까.

“영화는 그가 좋은 사람이라거나 나쁜 사람이라고 앞서 한정짓지 않고 그가 선할 수도, 나쁠 수도, 행복할 수도, 슬플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건 우리 모두의 현실이기도 하다. 그게 바로 인간이니까.” (토드 필드 감독)

부패한 권력의 몰락이라는 어두운 스토리라인과는 상관없이 말러 교향곡 5번과 엘가 첼로협주곡의 선율이 영화 내내 귀에 들어온다. 세상이 아무리 추해져도 음악은 변함없이 언제나 아름답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