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요금 17년 만에 최대폭 상승...생수 가격도 7% 올라
상수도요금 17년 만에 최대폭 상승...생수 가격도 7% 올라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3.03.22 08:10
  • 수정 2023-03-22 0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시내 한 우편함에 가스·전기·상수도 요금 청구서가 꽂혀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서울 시내 한 우편함에 가스·전기·상수도 요금 청구서가 꽂혀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서울시 등이 수도 요금을 상하면서 지난달 상수도 요금이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생수 가격은 한 달 새 7% 넘게 올라 11년여 만에 가장 많이 뛰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 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이는 2006년 1월(6.1%) 이후 1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생산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요금 현실화를 이유로 잇따라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 결과다.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가정용 상수도 사용요금을 1㎥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20.8% 인상했다. 욕탕용은 440원에서 500원으로, 그 외 일반용은 1150원에서 1270원으로 각각 올렸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납기 분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580원에서 630원으로 8.6% 인상했다. 지난 1월 경기도 성남시도 약 18% 인상하는 등 지자체발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보다 28.4% 상승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기·가스요금이 동결됐으나, 수도 요금 인상 여파로 1월의 상승률(28.3%)을 웃돌았다.

지난달 생수의 물가 지수는 109.24로 한 달 새 7.1% 올랐다. 2011년 7월(9.5%)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출고가를 지난달 평균 9.8% 인상했다. 제주삼다수는 국내 생수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