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교육비 26조원... 1년 만에 역대 최대
지난해 사교육비 26조원... 1년 만에 역대 최대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3.03.07 13:41
  • 수정 2023-03-07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시스·여성신문
ⓒ뉴시스·여성신문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26조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전국 초·중·고교 3000곳에 재학 중인 학생 7만4000명가량을 대상으로 사교육비를 조사한 결과 총액이 26조원으로 2021년의 23조4000억원보다 10.8% 늘었다.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사상 최고치였던 전년도 기록을 한 해 만에 갈아 치웠다.

사교육 참여율은 78.3%로 2021년(75.5%) 대비 2.8%포인트 올라 이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은 7.2시간으로 0.5시간 늘었다.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까지 포함한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원으로 1년 사이 11.8% 증가했다. 사교육에 참여한 학생만 놓고 보면 52만4000원으로 7.9% 늘었다.

사교육 참여율은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크고 방역기준이 엄격했던 2020년에는 67.1였다.

등교가 정상화된 2021년에는 75.5%를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수준(2019년 74.8%)을 넘어섰다. 

초등학생 전체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37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13.4%(4만4000원) 많았다. 중학생은 43만8000원으로 11.8%(4만6000원), 고등학생은 46만원으로 9.7%(4만1000원) 높아졌다.

사교육 참여 학생의 경우, 초등생은 월평균 43만7000원(3만7000원, 9.2%↑), 중학생은 57만5000원(3만9000원, 7.4%↑), 고등학생은 69만7000원(4만8000원, 7.3%↑)을 지출했다.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는 64만8000원으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300만원 미만 가구의 사교육비는 17만8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경우 88.1%로 전체 구간 가운데 가장 높았고, 300만원 미만 가구는 57.2%로 낮았다. 

이번 조사 대상 사교육비는 초·중·고교생이 학교 정규교육과정 외에 사적 수요에 따라 개인적으로 지출하는 학원비·과외비·인터넷 강의비 등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