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뉴시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뉴시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논의하기 위해 열렸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론 없이 끝났다.

5일(현지시각) 오후 3시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시간 30분 가량 공개회의를 연 뒤 비공개로 전환했다.

공개회의에서는 먼저 칼레드 키아리 유엔 사무차장이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설명을 했다.

이어 15개 이사국들이 돌아가며 각국의 입장을 밝혔다. 

미국을 포함한 12개국은 북한을 규탄하며 새 제재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미국대사는 지난 5월 안보리 대북 결의안이 중국,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가로막혔다며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한마디로 안보리의 두 상임이사국이 김정은의 행동을 가능하게 한 셈"이라며 "안보리가 북한의 나쁜 행동에 대해 단합된 목소리를 내는 시절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14번째 발언국으로 나선 러시아는 키아리 유엔 사무차장이 북한 미사일 발사 원인에 대한 언급 없이 결과만 말했다며 성토했다.

그는 이어 "평양의 미사일 발사는 이 지역에서 미국이 이끄는 근시안적이고 대결적인 군사행동의 결과라는 게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또 한미일 지도자들이 "핵을 포함한 미국의 억지 수단을 한반도와 그 지역에 배치하는 것에 관해 무책임한 말을 쏟아내고 있다"고 비난했다.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사는 "북한의 최근 발사를 주목하는 동시에 그 지역에서 여러 차례 진행된 미국과 다른 나라들의 연합군사훈련도 주목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핵문제와 관련해 미국은 '이중잣대'를 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정치행동으로 이 지역 안보를 해치고 있다"며 "한반도 긴장고조는 놀랄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안보리는 비공개회의에서도 아무런 공식 결론을 내지 못하고 끝났다. 

안보리 서방 이사국과 이해당사국으로 참석한 한국, 일본은 회의를 마친 뒤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장외 성명을 내놨다.

뻔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날 회의가 소집된 것은 북한 뿐 아니라 북한에 동조하는 중국, 러시아를 국제사회서 고립시키기 위한 미국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