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주최 여성문화포럼에서 여성문화계 인사들 한 목소리

여성문화 정책 여성주의 관점 반영돼야

여성문화 활동가들 폭넓게 공유할 기반 필요

“한국 여성문화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자리다”.

지난 31일 문화부 청사에서 열린 여성문화포럼에 참석한 한 문화부 직원은 이같이 말했다.

최근 문화부가 추진 중인 여성문화 사업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여성문화 정책에 '과연 여성주의 마인드가 반영되어 있는가' 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B7-1.JPG

◀5월 31일 문화부 청사에서 열린 여성문화포럼에는 학계와 여성문화단체 활동가들이 참여해 여성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문화부 내 여성문화 TF팀(팀장 최진)이 포럼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최근 문화부에서는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와 창작활동을 통한 여성 문화 인식 확산을 꾀한다는 목적으로 6월 한달 간 여성문화 창작물 기획안을 공모하고, 응모한 우수 기획안을 선정, '여성문화 게릴라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참가단체들이 주 1, 2회 문화부 내외부를 활용해 게릴라성 문화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6월 말까지 선정된 작품은 10~20편으로, 100~500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된다.

정부 주도하의 '게릴라'식 여성문화 활동에 몇몇 여성문화 관련자들은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이혜경 여성문화예술기획 대표는 “여성문화정책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반갑지만 정부 조직과 여성문화 NGO와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한다”면서 “마치 문화부는 점령군, 여성문화는 반란군이라는 식으로 '자, 돈 줄 테니 여기 와서 놀아봐라'의 방식이어선 안 된다”고 강한 우려를 내비쳤다.

이 대표는 또 “문화부 직원들을 포함해 여성문화에 배타적인 사람들이 과연 여성문화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먼저 점검되어야 한다”면서 “여성주의적인 여성문화정책 마련을 위해 문화예술전문가들을 위한 여성예술문화 워크숍을 따로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참여 정부 출범 이후 문화부 내 여성문화정책 전담 부서가 논의되는 등 정부의 여성문화에 대한 관심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여성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토양이 미흡한 현실에서 몇 개월 동안의 단발성 여성문화 게릴라 활동으로 여성문화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도 있다.

상지대 김정란 교수는 “약간의 지원금으로 여성문화 전반을 바꾼다는 게 가능할지 의문”이라면서 “너무 서두르지 말고 사회 전체 분위기가 여성문화를 논의할 만큼 성숙돼야 '게릴라'식 여성문화활동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반면 기획안을 발표한 김의숙 파임 커뮤니케이션즈 대표는 “대학로에는 60여 개의 극장이 있고 그만큼의 문화예술 활동가들이 있다. 그들이 여성문화 활동에 관심 갖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해 봐야 한다”면서 “정부의 지원이 여성문화의 턱을 허물고 관객과 문화활동가들이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기획 배경을 설명했다.

여성문화 TF팀의 최진 팀장 또한 “관점을 가지고 보면 기존의 문화정책 대상은 보편적인 남성 시민이었고 여성은 주변에 머무른 채 소외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여성들이 문화 수용자, 문화 생산자가 될 수 있게끔 여성주의 시각을 가진 창조 활동이 진행되는 한편 그와 병행해 파이를 키워나가는 움직임이 필요하다”면서 “여성문화 정책 마련을 위해 정부와 NGO가 만난 첫 포럼인 만큼 충분한 논의를 거칠 생각이다”고 '여성문화 게릴라 프로젝트'추진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임인숙 기자isim12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