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shutterstock

‘취미 경제’가 뜨고 있다. 단순히 즐기는 취미 활동을 넘어 수익을 창출하고 자립할 수 있는 문화로 확산 중이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소재 한 건물 2층 카페엔 노트북이 아닌 뜨개질에 열중인 ‘뜨개인’들이 모여 있다. 뜨개질이라고 하면 나이가 있는 사람들이 하는 취미활동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은 젊은 층 수도 상당하다. 뜨개질을 테마로 한 복합문화공간인 ‘바늘이야기’는 무려 5층 규모다. 1층엔 뜨개질 도구를 판매하는 상점, 2층엔 음료를 마시며 뜨개질을 할 수 있는 카페, 3층은 뜨개질을 배울 수 있을 강의실, 4~5층엔 스튜디오와 사무실이 있다. 24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바늘이야기에서 운영 중인 바늘 아카데미의 21개 강좌 중 신청 가능한 강좌는 단 1개뿐이다. 뜨개질 초보자를 위한 유튜브 강의 채널 ‘바늘이야기 김대리’도 운영 중인데 현재 구독자는 26만명을 넘었다. 바늘이야기의 주된 사업은 뜨개 용품을 판매하는 것이지만 뜨개질 강의와 체험을 통해 뜨개질 문화를 파는 셈이다.

트레바리 회원들이 클럽 활동을 하는 모습 (출처: 트레바리 홈페이지 캡처)
트레바리 회원들이 클럽 활동을 하는 모습 (출처: 트레바리 홈페이지 캡처)

제대로 된 독서모임을 하기 위해 5만원 안팎의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도 있다. 책을 읽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며 지식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읽고, 쓰고, 대화하고, 친해지기’를 핵심 가치로 내세우는 독서모임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스타트업 ‘트레바리’는 △월 1회 정기 독서 모임 △공연, 강연, 파티, 문화 체험 등 커뮤니티 이벤트 △매 시즌 다양한 제휴 혜택 등을 제공한다. 독서모임(클럽)은 10~20명 규모로 꾸려진다. 클럽을 이끄는 클럽장엔 기업 대표, 교수 등 저명인사도 있다. 앞서 김상헌 전 네이버 대표, 이영주 역대 2호 여성 검사장, 김소영 전 대법관, 배우 손수현, 김세연 전 국회의원, 정혜승 전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 같은 클럽장이 있었다. 트레바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지난해 9월 회원 수가 코로나19 직전 대비 75% 줄어 최저를 찍었다. 비대면 독서모임 ‘랜선 트레바리’를 시작하면서 온라인 회원 수가 꾸준히 늘어 현재 전체 회원의 20% 이상으로 비중이 커졌다.

취미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플랫폼도 있다. ‘모두가 사랑하는 일을 하며 살 수 있도록’이라는 비전을 내걸고 등장한 클래스101은 현재 2800여개 클래스를 운영 중이다. 미술, 운동, 공예 등 취미에 특화된 클래스101 크리에이티브 등이 대표적이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며 클래스를 오픈해 판매 수익으로 경제성을 보장받는 것이다. 클래스를 수강하는 클래스메이트는 온라인 클래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취미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클래스 101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해 2019년 7월 클래스101 US를, 2020년 3월에는 클래스101 JAPAN을 론칭해 현재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 및 일본 등 약 120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래스101의 누적 회원 수는 약 368만에 이르며 수강생 만족도도 97%에 달한다.

취미를 가르치고 배우거나 취미의 성과물을 전시하거나 판촉할 수 있는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비 항목 중에서 여가소비는 주목할 점”이라며 “여행 등과 같은 취미를 소비품목으로 볼 수 있지만 여가소비로도 볼 수 있어서 독특한 소비”라고 말했다.

특히 2030세대는 ‘여가’에 지출하는 돈은 아깝지 않다고 생각했다. 23일 헤럴드경제가 발표한 Z세대 사회초년생 100명을 대상으로 이달 설문을 진행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100명 중 48명(48%)이 여가비는 아깝지 않다고 답했다.

최 교수는 “내가 무언가를 배우는 것을 통해 만족을 느끼고 배우는 것을 소비처럼 여기는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여가소비에 가치를 부여하고 만족을 얻는다는 점에서 충분히 소비 트렌드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요즘엔 서로 공유하고 공감하는 문화가 있다 보니까 취미활동으로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도 소비 트렌드로 확산되는 것 같다”며 “여가소비를 지지하기 위한 산업도 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예를 취미로 배웠을 때 작품이나 성과물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전시를 한다거나 판촉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얘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