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판매, 울산·인천 빼고 모두 증가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경제활동이 점차 회복되면서 지난해 서비스업 생산이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에서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1년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서비스업생산 2020년보다 4.3% 증가했다. 2007년 이후 14년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했다. 서울(5.9%), 경기(4.3%), 부산(4.1%), 강원(4.0%), 충남(3.8%), 경북(3.6%) 등에서 증가율이 특히 높았다.
소매판매액지수 역시 2020년의 부진(-0.2%)을 딛고 지난해 전국에서 5.5% 증가했다. 2010년 이후 최대폭 증가다.
소매판매는 서울(6.4%), 부산(6.0%), 제주(5.7%), 대전(3.9%), 전남(3.9%) 등 14개 시도에서 늘었으나 울산(-1.3%)과 인천(-1.0%)에서는 감소했다.
이민경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서비스업 생산은 2020년 코로나19로 위축됐으나 백신 접종과 비대면 거래 확산 등으로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줄어들면서 모든 업종에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장은 다만 "울산은 지역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 경기가 저조한 것이 최종소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인천은 면세점 매출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서울의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운수·창고, 도소매 등 모든 업종에서 늘어 2020년보다 5.9%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대형마트 등에서는 줄었으나 백화점 등이 호조를 보여 6.4% 확대됐다.
지난해 4분기만 서비스업 생산은 16개 시도에서 모두 늘면서 전국적으로 5.4% 증가했다. 지난 2분기와 3분기에도 16개 시도에서 모두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이 3개 분기 연속으로 모든 시도에서 증가한 것은 2015년 2분기부터 2016년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증가한 뒤 5년여 만이다.
지난해 4분기 소매판매는 14개 시도에서 늘면서 전국적으로 6.2% 늘었으나 울산(-0.7%)에서는 감소했고 경남(0.0%)은 보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