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x9→10x10격자형…30년만에 재정비
남북 6축으로 진천~영동~합천 구간 신규 도입
대도시권역 6개 순환망→방사형 순환망 개편

30년만에 재편된 국가간선도로망 ⓒ국토교통부
30년만에 재편된 국가간선도로망 ⓒ국토교통부

국가 도로 건설의 기초가 되는 국가 간선도로망이 30년 만에 남북방향 10개축과 동서방향 10개축으로 재편된다.

국토교통부는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열어 국가도로망 계획을 포함한 도로정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담은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을 의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을 통해 30여년 만에 남북방향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 6개의 방사형 순환망(10×10 + 6R²) 체계로 재정비했다.

'중부선'과 '중부내륙선' 사이의 큰 거리 차이를 보완하고, 남북축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규로 남북 6축(연천~서울 강일IC~진천~영동~합천 구간)을 도입했다.

또 실제 간선도로 기능을 수행 중인 장거리 노선(평택~부여~익산, 서울~세종, 서울~춘천)을 현재 지선(보조노선)에서 간선축으로 조정했다.

광역 생활권의 교통수요를 감안해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해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²)으로 발전시켰다.

 대전·충청 권역의 보령·부여축, 보은축, 태안축, 광주·호남권역의 화순축,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을 방사축으로 반영해 향후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도로망 확충을 검토할 수 있게 됐다.

국가 간선도로망은 지난 1992년 이후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7×9 + 6R) 돼 왔다.

이번 계획에는 사람 중심의 도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모빌리티를 긴밀히 연결하는 대중교통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휴게소 이용과 요금납부에 있어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는 내용도 담겼다.

자율자동차와 도심항공교통(UAM) 같은 미래 모빌리티와 새로운 교통서비스의 플랫폼으로서 도로의 역할을 정립하고,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실제 도로건설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부는 '제2차 도로망종합계획'을 9월 중 고시할 예정이며, 종합계획의 정책방향에 맞춰 하위계획인 건설계획과 관리계획도 단계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