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 결과 분석

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들이 비상발전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이 정전사고 후 복구하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올 여름 무더위가 기세를 올리면서 냉방기기 사용량이 급증하자 곳곳에서 크고 작은 정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오래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박지현)가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에버서비스 등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을 펼쳐온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신고 접수 처리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 이상 된 아파트에서 일어난 사고가 353건(전체의 4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세대수 별로 나눈 통계에서도 500세대 미만 아파트 정전사고 비중이 56%(471건)로 가장 높았다. 준공된 지 오래 된 중소규모 단지 아파트의 경우, 가설 당시 세대 당 전기사용량 기준을 대부분 3kW로 설계함에 따라, 변압기 과부하 사고 발생률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사고 기기별로는 저압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고, 변압기와 특고압기기가 각각 18%, 13%를 차지했다. 월별·계절별 사고 통계를 살펴도, 무더위가 한창인 7월에서 9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정전사고가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전기안전공사는 이 같은 아파트 정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관리소 측에 세 가지 당부를 했다.

먼저, 아파트 전기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 중인 변압기,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기사용량이 변압기 적정용량을 넘어설 경우를 대비, 즉시 교체가 가능한 예비제품을 마련해 두어야 한다.

둘째, 여름철 정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변압기 상태에 대한 수시점검과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과부하가 우려될 때는 단지 내 입주민에게 냉방기기 사용 자제 등 절전 안내방송으로 신속히 상황을 전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상용 발전기는 평소 충분한 사전 점검을 토해 정전 사고 시 즉각 가동될 수 있도록 관리해둔다.

임종민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기관의 정밀진단과 점검을 통해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상 있는 설비는 제 때 교체해주는 것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