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코로나19 4차 유행 본격화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은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의 전세계 대유행이 가시화되자 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낮추는 '빅컷'을 단행했다.

그해 5월 0.50%로 추가 인하한 뒤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에 이어 이번까지 아홉번째 동결 기조를 이어갔다.

2주 전만 해도 금융시장에서는 '7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2명-8월 금리인상-11월 금리인상' 또는 '7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1명-8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2명-10월 금리인상-내년 1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달 24일 물가안정목표 설명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시점을 '연내'라고 못박고 "지금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한두 차례 인상한다 해도 통화정책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금리 인상이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이달 2일 조찬회동을 갖고 재정·통화정책은 경제상황과 역할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는 등 경제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코로나19 4차 유행이 본격화되면서 회복세를 보이던 국내 경제에 먹구름이 다시 드리워졌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7일 발표한 '경제동향 7월호'에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고 감염병 확진자 수도 급증함에 따라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한편, 저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계빚이 위험수위에 도달해 더 이상 금리인상을 지체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올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폭은 2004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상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지난달 한은이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한국의 금융취약성지수(FVI)는 58.9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73.6)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 지수가 올라간다는 것은 미래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금융과 경제가 받는 충격이 확산할 위험이 커진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