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생존자입니다]
서울 용화여고·청주 충북여중
스쿨미투 생존자들의 이야기

2018년 한국 사회를 휩쓴 ‘스쿨미투’ 후 3년이 흘렀다. 용감하게 목소리를 낸 여학생들에겐 괴로운 시간이었다. 자신들이 고발한 교사들에게 2차 가해를 겪었고, 졸업할 때까지 다른 학생들, 교사들의 비난에 시달렸다. 제대로 된 수사나 처벌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역도 학교도 다르지만, 여성신문이 만난 세 생존자의 경험담은 거의 비슷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학교가 10대들에게 안전한 공간인가를 다시 묻게 한다.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2018년 시작된 스쿨미투는 전국 100여 개교로 번졌다. 세계가 주목했다. 잭 도시 트위터 CEO는 스쿨미투를 트위터의 순기능을 보여준 사례로 뽑았고, UN아동권리위원회에서도 한국의 스쿨미투를 주요 의제로 다루며 경종을 울렸다.

그런데 학생들은 고발에 나선 순간부터 학내에서 가혹한 공격을 받았다. 학교 측과 교사들의 압력도 거셌고, ‘학교 망신’, ‘입시에 방해된다’는 다른 학생들의 냉대와 비난도 큰 상처가 됐다. 적지 않은 가해자들이 가벼운 징계를 받고 학교에 돌아왔다.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어렵게 소송을 결심한 피해자들 대부분은 조력자 없이 홀로 싸워야 했다. 재판 동행, 법률구조공단 연계 등 내용이 담긴 교육부의 피해 지원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관할 교육청은 제대로 지원하지 않았다”고 했다. 용화여고, 충북여중 피해자들도 직접 발로 뛰어 증거를 모았다. 지금은 여성단체, 지역 시민단체 등의 지원을 받아 어렵게 형사 재판을 이어가고 있다.

ⓒ여성신문
ⓒ여성신문

생존자들은 아픈 기억을 말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낙관과 다른 학교 내 성폭력 생존자들을 향한 지지와 연대도 강조했다.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스쿨미투 당사자들은 가해자들에게도 따끔한 한 마디를 전했다.

“인륜을 무시했다” 이런 식으로까지 말씀하시면서 피해자들의 진술을 무고하다고 몰아붙인 이유가 도대체 뭔지가 너무 궁금해요. 그렇게 부인하셨던 것까지 더해서 학생들한테 계속 미안하셨으면 좋겠어요.” (충북여중 스쿨미투 당사자 A씨)

“부디 자신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지적을 자신을 향한 공격으로만 여기지 마시고 한 번쯤은 부끄러이 여기시기 바랍니다. 당신이 무지할 동안 죄 없이 스스로를 부끄러이 여겨온 누군가 앞에서 함부로 당당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는 말을 전하고 싶네요.” (용화여고 스쿨미투 당사자 강한나 씨)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여성신문

 

ⓒShutterstock
ⓒShutterstock

여성신문은 <내 이름은 생존자입니다> 기획 보도를 통해, 조명받지 못한 젠더폭력 ‘생존자’의 목소리를 보도함으로써 인권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성폭력·인권침해 견뎌야 하는 학교, 지금 아니면 언제 바꿔? www.womennews.co.kr/news/213463

▶ 스쿨미투 후 ‘마녀사냥’...더 무서운 건 친구들이었다 www.womennews.co.kr/news/213465

▶ “아빠가 딸 만져도 허용되듯...” 성폭력 교사의 황당한 논리 www.womennews.co.kr/news/213465

▶ 스쿨미투 후 무너진 일상...그래도 희망을 놓지 않겠다 www.womennews.co.kr/news/213467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