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김창열 화백 생전 모습 ⓒ뉴시스·여성신문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김창열 화백 ⓒ뉴시스·여성신문

'물방울 화가'로 유명한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김창열 화백이 5일 향년 92세로 타계했다.

김 화백은 영롱한 물방울을 그린 작품으로 대중적인 인기와 세계적인 명성을 얻으며 한국 현대미술에 큰 획을 그었다.

고인은 1929년 평안남도 맹산에서 태어났다. 16살 때 남쪽으로 내려와 화가 이쾌대가 운영하던 성북회화연구소에서 그림을 배웠다. 검정고시로 1948년 서울대 미대에 입학했지만, 대학 3학년 때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학업을 중단했다.

이후 본격적인 화가의 길을 걸으며 1957년 박서보, 하인두, 정창섭 등과 함께 현대미술가협회를 만들어 급진적인 앵포르멜(Informel, 즉흥적 행위와 격정적 표현을 중시한 전후 유럽의 추상미술) 미술운동을 이끌었다.

1965년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판화를 전공했고, 1969년 제7회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프랑스 파리에 정착해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김창열의 1950~60년대 작품에서는 전후(戰後) 실존주의가 담겨 있다. 형태도 없이 물감 흔적과 붓 휘두른 화가의 몸짓만 남은 앵포르멜이 그의 초기작을 이룬다. ‘피,땀,눈물’로도 읽히는 그의 물방울은 격변의 한국 현대사를 걸러내 추상적으로 승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2년 파리에서 처음 '물방울 회화'를 선보인 이후 파리에 체류하며 물방울 작품을 지속해서 선보였고, 국립현대미술관, 드라기낭미술관, 사마모토젠조미술관, 쥬드폼므미술관, 중국국가박물관, 국립대만미술관 등 국내외 주요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60여 차례 개인전을 열었다.

작품은 프랑스 퐁피두센터, 일본 도쿄국립미술관, 미국 보스턴현대미술관, 독일 보훔미술관을 비롯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에 소장됐다.

고인은 프랑스와 한국을 오가며 양국 문화교류 저변 확대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슈발리에를 받았고, 2013년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을, 2017년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를 받았다. 2016년에는 제주도 한경면에 김창열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유족으로는 부인 마르틴 질롱 씨와 아들 김시몽 고려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김오안 사진작가 등이 있다. 빈소는 고려대 안암병원 301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7일 오전.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