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심리 안정 및 돌봄 지원 방안 논의

정부는 최근 2030 여성의 자살 급증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자 11월 말, 2030 여성을 ‘자살 위험군’으로 공식 분류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했다. ⓒpixabay

최근 2030 여성의 자살 급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자, 정부가 예방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처음으로 2030 여성을 ‘자살 위험군’으로 공식 분류하고, 여성 심리·정서 안정 및 돌봄 지원 방안 등 대책을 검토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1월 30일 제3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 △고용불안 △돌봄 부담 누적 등을 2030 여성의 자살 증가 원인으로 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정세균 국무총리가 11월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올해 여성 자살 사망자는 실제로 폭증했다. 중앙자살예방센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여성 자살 사망자(잠정치)는 192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1% 늘었다. 이 비율은 남성 사망자가 6.1% 감소하고, 전체 사망자도 2.4% 줄어든 수치와 대조적이다. 1987년 통계 작성 후 최초로 여성 자살률만 증가했다.

여성의 자살 시도는 꾸준히 많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 2만1545명 중 여성은 1만2899명(59.9%)으로, 남성 8646명(40.1%)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23.0%)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2030 여성은 그간 정부의 자살예방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정부는 독거노인, 청소년, 50대 남성의 자살에만 집중했다.

정부는 올해 △여성 자살예방 상담 강화 △심리 안정 위한 모임·활동 지원 △청년 여성·프리랜서 발굴·지원 △경력단절 여성 인턴제 확대 △방문 돌봄·공동육아 지원 등 대책을 냈다.

정부는 “2030 여성 자살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태에 대한 근본적 원인 분석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