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임금 210만원, 남성 334만원의 63%
맞벌이 가사 공평분담 인식과 괴리된 현황
사회 안전 불안요인 여성은 범죄, 남성은 환경오염 꼽아

'2019년 성인지 통계' 저임금 노동자 비율ⓒ서울시
'2019년 성인지 통계' 저임금 노동자 비율ⓒ서울시

서울의 여성 노동자 가운데 월 급여 147만원 아래로 버는 저임금 노동자가 남성 노동자보다 세 배나 많았다.

서울시(시장 박원순)가 10일 ‘2019년 성(性)인지 통계 :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간했다. ‘성인지 통계’는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된 통계를 말한다. 사회의 성별 불평등 현상을 보여주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만든다. 시 성평등 정책추진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도 한다.

2019년 성인지 통계는 시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지난 5월부터 12월까지 전문가 자문 및 조사자료, 행정자료 등을 분석해 작성했다. 10개 부문(인구,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및 환경,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 안전), 45개 영역, 424개 통계지표로 구성했다.

시 여성 노동자 중 월평균 147만원 미만을 받는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2018년 기준 27.5%였다. 남성(9.6%)보다 약 3배 높았다. 여성 임금노동자의 같은 해 상반기 기준 월평균 임금은 210만원으로 남성 334만원의 63% 수준이다. 이는 OECD가 2017년 발표한 우리나라 성별임금격차(34.6%)와 비슷한 수치다.

전체 임금노동자 중 임시·일용노동자 비율은 2014년 이후 여성과 남성 모두 감소 추세지만 여성은 40.6%, 남성은 27.3%를 기록했다.

15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도 54.1%로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71.9%)과 큰 차이를 보였다.

여성과 남성의 정치 및 사회 참여를 살펴보면 2018년 6월 8일 실시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여성 당선인 비율은 기초의원 30.9%, 광역의원 18%, 구청장 12%였다. 시(본청) 위원회 위촉직 여성위원 참여율 평균은 44.9%다. 시 5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은 2017년 21.8%에서 2018년 23.2%로 상승했다.

서울 소재 검찰청(고등, 중앙·동부·서부·남부·북부 지방 검찰청)의 여성 검사 비율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26%대를 유지하다 2019년 9월 27.3%로 증가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의 여성 경찰관 비율은 2015년 9.9%에서 2019년 9월 12.0%로 증가했지만, 경감 이상 고위직 여성 비율은 같은 기간 9.3%에서 9.1%로 오히려 감소했다.

일·생활균형에 대한 만족도 응답 분포는 여성과 남성이 대체로 비슷했다.

맞벌이 부부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인식이 컸지만, 실제로는 주로 여성이 가사를 책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 수급자 비율은 2017년 9%에서 2018년 12.8%로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여성도 같은 기간 1,459명에서 1,703명으로 증가했다.

서울 1인 가구 중 여성 가구주는 58.7%, 남성 가구주는 41.3%였다. 1인 가구 여성은 60대 이상 비율이, 남성은 30대 비율이 가장 높다. 월평균 소득의 경우 여성 1인 가구의 약 1/2은  200만원 미만이고, 1/4은 100만원 미만이다. 남성 1인 가구는 1/3이 200만원 미만, 2/3는 300만원 미만이다.

여성과 남성 모두 폭력범죄보다 부정부패, 안보, 사회갈등으로 인한 안전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범죄위험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은 여성이 50.6%로 남성(34.9%)보다 높았다. 사회 안전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여성은 범죄를, 남성은 환경오염을 꼽았다.

시는 ‘2019년 성인지 통계’를 책자로 발행해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한다. 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analysis)에서도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