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저자 박한아 작가
‘강남역 사건’ 접한 뒤
페미니즘에 본격 관심
남성성 짙은 사회에서
아들 가진 부모들 고민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박한아 저자. ⓒ곽성경 여성신문 사진기자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박한아 저자. ⓒ곽성경 여성신문 사진기자

“양육에서도 여성주의적인 시각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면 위로 끌어올 수 있지 않을까요?”

2016년 5월 ‘강남역 여성 살해 사건’을 접했다. 임신 중이었던 박한아(33) 작가는 여성 혐오 사회에서 과연 아이를 낳아 잘 키울 수 있을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조금이라도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고민 끝에 직접 나섰다. 한 달에 한 번씩 여성 작가의 책을 읽고 의견을 나누는 북클럽을 시작했다. 사는 지역 근처에서 하는 ‘스쿨미투’ 집회에도 참석했다.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21세기북스) 저자 박한아 작가가 책을 펴낸 이유도 여기에 있다. 네 살 아들을 키우는 저자는 성차별과 성 고정관념이 없는 세상에서 아이가 자랐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관련 양육책을 찾아봤지만 내용에 성 고정관념이 담긴 책이 대부분이었다. 결국 박 작가는 페미니스트로서 자신의 육아 일기를 들려주기로 했다.

ⓒ21세기북스
ⓒ21세기북스

“임신 때 아들이라는 걸 확인했을 때 무서웠어요. 저를 불쾌하게 만들고 성별을 무기로 삼아 행동한 남성들이 있었어요. 아들이 그런 남성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고민이 됐습니다.” 박 작가는 자신의 아들이 페미니스트로 자라길 바란다.

책은 ‘남자는 파랑색, 여자는 핑크색을 좋아한다’면서 아이를 바라보는 사회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바로 잡고 사회적 약자인 아이들을 함부로 판단하는 어른들의 무례함을 짚어내는 저자의 고군분투 육아일기다. 

여자아이가 공룡을 좋아한다고 하면 주변에서 호들갑을 떨고 양육을 잘하는 엄마는 ‘그냥 엄마’라고 하지만 아빠는 ‘좋은 아빠’라고 부르는 시대다. 세상은 쉽게 아이를 지우기도 한다. ‘노키즈 존’이 대표적이다. 시끄럽다는 이유로 식당이나 카페에 들어가지 못한다. 아기가 사회성을 키우고 어떤 순간에 예의를 차려야 하는지 배울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런 아이들을 돌보는 엄마는 민폐를 끼친다는 이유로 ‘맘충’(육아하는 여성 비하 표현)으로 불린다. 박 작가는 엄마들이 ‘맘충’이라고 불리는 게 새롭지 않다고 했다.

“20대 때는 된장녀, ‘꼴페미(페미니스트 비하 용어)’로 불렸어요. 여성은 계속해서 카테고리화되는 것 같아요. ‘○○녀’라고 부르지 말자는 움직임도 있었잖아요. 세상에는 이상한 사람들이 있고 그중에서는 여성 양육자가 있을 수는 있어요. 그런데 왜 거기에 ‘엄마’를 붙이는지 모르겠어요.”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박한아 저자가 2일 여성신문 본사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곽성경 여성신문 사진기자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박한아 저자가 2일 여성신문 본사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곽성경 여성신문 사진기자

박 작가는 아들이 성 고정관념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시도한 방법은 대화다. 아이 곁에서 끊임없이 상황에 따라 이야기를 해준다. 운전사는 남자만 하는 것이라고 믿는 아들에게 ‘여자도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식이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도 움직이기도 한다. 성별로 장난감을 분류하는 한 완구회사에 민원을 넣고 직접 항의도 했다. “아이가 살아나갈 사회이니까 부모가 건강하고 평등한 방향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 작가의 아들은 장난감 중에 자동차와 인형을 특히 좋아한다. “흔히 말하는 남자아이의 특성도 있지만 아닌 것도 있어요. 주방 놀이를 할 때는 음식 하는 걸 좋아하고 집 밖에서 늘 몸에 지니는 토끼 인형도 가지고 있어요. 성인들도 전통적인 성 고정관념에 들어맞는 사람이 없잖아요. 아이들도 마찬가지죠.”

그는 최근 개봉한 영화 ‘우리집’의 윤가은 감독이 아역 배우들을 배려하기 위해 만든 촬영 수칙을 언급하며 어른들이 아이를 대하는 태도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린이들은 항상 성인 여러분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의 멋진 거울이 되어주세요’라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아이를 대하는 태도거든요. 우리가 먼저 태어난 사람으로서 아이들을 성별로 재단하고 아이라는 약자의 특성은 무시하는 것이 배제하는 게 맞는 건지 함께 고민했으면 합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