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노조 임금보전 요구’ 고민

노사협력 통한 생산성향상 대책 

탄력근로 단위기간 연장 필요 

 

근로시간을 한 주 최대 52시간으로 줄이는 근로기준법 개정안 시행이 다음달부터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해당 기업 절반은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지난해 매출액 600대 기업 중 오는 7월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업종에 속한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기업 112개사 중 55.4%(62개 기업)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19.6%(22개 기업)이 긍정적 영향을 전망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 정도는 ‘법안 통과 후 대책마련 및 7월 1일까지 완료 예정’이 48.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법안 통과 전 시범사업 추진 및 7월 1일 전사업작 적용’이 23.2%, ‘법안통과 전 대응체계 구축 및 현재 준비 완료’가 16.1%로 뒤를 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중복응답)으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35.7%)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9.5%)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8.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많은 애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중복응답)는 72.3%(81개 기업)가 생산현장인 공장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부서(13.4%) 등의 순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74.1%) △신규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성향상을 주요 대응계획으로 선택한 기업(83개)을 대상으로 대책을 조사(중복응답)한 결과, 사무․연구개발 분야는 △유연근로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생산현장은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전환배치(22.9%) 순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을 확산하기 위한 제도보완 방안(중복응답)으로 57.1%(64개 기업)가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근로시간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체계 구축 지도’(32.1%)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