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허스토리’ 스틸컷 ⓒNEW 제공
영화 ‘허스토리’ 스틸컷 ⓒNEW 제공

“90년대 초반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고백하는 걸 본 뒤로 가슴에 돌멩이를 하나 얹고 살았어요. 10년 전부터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는데 ‘힘들고 불편한 이야기를 누가 보겠냐’는 반응 속에 좌절했었죠. 그런데 ‘혼자 잘 먹고 잘 살았다’는 부끄러움에 도저히 견딜 수 없더라고요.”

민규동 감독은 7일 오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린 영화 ‘허스토리’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민 감독이 연출한 영화 ‘허스토리’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6년 동안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를 오가며 벌어진 관부재판 실화를 소재로 했다. 당당히 일본 정부에 맞선 할머니들과 그들을 위해 함께 싸웠던 사람들의 뜨거운 이야기를 담았다.

관부재판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관련 재판 사상 처음으로 보상 판결을 받아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이뤄냈지만, 지금껏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역사 속에서 잊혀져왔다.

민 감독은 “더 이상 미루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나리오를 쓰기 위해) 할머니들의 증언을 연구하고 기록을 살펴보던 와중에 그동안 전혀 몰랐던 관부재판에 대해 알게 됐다”며 “승리의 기록과 그 안에 담긴 더 큰 서사를 영화로 만드는 게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에 과감히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 그는 “그동안은 ‘위안부’ 피해자를 꽃다운 처녀, 짓밟힌 자존심 등 민족 전체의 큰 상처로 환원시켜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때문에 ‘위안부 영화’ 하면 ‘더 볼 것도 들을 것도 없는 영화’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저는 할머니들 개개인의 아픔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할머니들은 단순히 상징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저 한 명의 인간으로서 도망가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서로 속이기도 하며 각자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남았다. 그런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면 (많은 분들이) 할머니들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영화에서 배우 김희애는 할머니들의 재판을 돕는 원고단 단장 ‘문정숙’으로 분해 연기 변신을 펼쳤으며, 김해숙은 모진 인생을 버텨 극적으로 재판에 참여하게 되는 원고 ‘배정길’을 맡았다. 배정길과 함께 일본 정부에 맞서는 원고단 ‘박순녀’, ‘서귀순’, ‘이옥주’는 예수정, 문숙, 이용녀가 연기해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 또 할머니들의 무료변론을 맡은 재일교포 변호사 ‘이상일’ 역의 김준한을 비롯해 김선영, 이유영 등이 힘을 보탰다. 영화는 오는 27일 개봉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