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김명자 한국과총 회장 

문, 탕평 인사·여성 발탁 잘했다

적재적소에 제대로 ‘사람’ 앉혀야

국정 운영, 숲 보고 나무를 봐야

성장엔진 창출과 좋은 일자리로

4차 산업혁명시대 위기를 기회로

새 정부 출범 이후 크고 작은 변화가 감지된다. 대선 직후인 10일 여론조사를 보면 문재인 대통령이 “잘 할 것 같다”라는 답변이 84%, “잘 못할 것 같다”는 10%였다. 그 평가 기준으로는 공약 이행(30%)과 국민과의 소통(27%)이 높은 순위로 꼽혔다. 이틀 뒤 5월 12일 여론조사에서도 국정 수행을 잘 할 것이라는 답변이 74%였다.

권위주의를 타파한 듯한 소박한 소통 행보와 국무총리·비서실장 등의 첫 인사를 비롯해 이후 과감하게 여성 인력을 발탁하는 파격적 혁신이 좋은 인상을 주고 있는 것 같다. 17대 국회의원 동료 모임에서 들으니, 후보 시절 문 대통령은 측근 그룹에게 “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가까이서 일할 생각은 하지 말라”고 했다고 한다. 그대로 지켜진다면 임기 말 측근 비리로 얼룩진 부끄러운 역사는 반복되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이번 선거 결과에서 2위와의 표 차는 역대 최다인 557만 표였다. 하지만 득표율로는 41%였다. 정계 개편이 여의치 않다면 여당 의석수가 120석인 여소야대 구도다. 자칫 삐끗하면 정치적 지형과 민심이 요동칠 확률이 적지 않다. 오랜 세월 진보와 보수의 진영 논리로 갈린 역대 정부는 내 편만 바라보는 포퓰리즘 정치에 발목이 잡혔고, 그로 인해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의 골이 깊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당선인사에서 “지지하지 않았던 분들도 섬기는 통합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그 다짐대로 41% 범위 밖에 있는 국민의 마음을 잡을 수 있다면 성공한 대통령이 될 것이다.

새 정부가 출범한 시점에서 국내외 상황은 참으로 엄중하다. 한미, 한중, 한일, 남북 관계가 꼬일 대로 꼬여 있다. 취임하자마자 4강 정상 ‘전화 외교’를 마무리하고 방미 일정도 잡혔으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앞날이 얼마나 순탄할지 알 수가 없다. 국내 사정을 보면 실업률이 17년 만에 최고이고, 청년 실업도 최악이다. 깊어만 가는 양극화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은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크다.

상황이 이렇고 보니 국정과제 1순위가 일자리, 국정 첫 업무가 일자리위원회 설치인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선거 공약은 될수록 지키는 게 도리다. 하지만 국정 전반의 큰 그림에서 숲을 보고 나무를 보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 재정 확보에 앞서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이런저런 한계를 점검하고,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공약도 공공 부문의 방만한 경영과 비효율까지 함께 다루는 치밀함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새 정부 출범과 때맞춰 4차 산업혁명시대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를 깃발로 성장엔진 창출과 좋은 일자리 만들기로 국면을 전환시켜야 한다. 정부의 리더십으로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켜야 한다. 하지만 그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고도의 전문성과 초연결의 융합적 시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정 운영에서는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못지않게 중요하다. 국가의 최고 인재를 모아 적재적소에 자질과 역량과 열정을 갖춘 ‘사람’을 앉히고, 권한을 주되 단호하게 책임을 물으면 일은 잘 돌아가게 돼 있다. 탁월한 통찰력과 용인술이 리더십의 요체다.

“영광의 순간은 짧고 고뇌와 고통의 시간은 길었다.” 임기 초반 90% 이상의 지지율을 누렸던 전직 대통령이 청와대 문을 나서면서 피력한 소회를 국민은 기억한다. 필자는 교수 출신으로 국무위원과 국회의원을 거치며 관찰자로 권력무상의 덧없음을 보았다. 모두 다 한 때 지나가는 일이다. 국민의 가슴 속에 길이 남고 그리워할 대통령은 오직 국민만을 바라보고 미래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는 지도자다. 그런 모습을 문재인 대통령에게서 보고 싶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