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10번출구, 13일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 개최 

강남역 1주기에 돌아보는 ‘여성연대’의 힘과 가능성

여혐사회 바꿀 키워드는 결국 “평등”

 

1년 전 ‘강남역 여성살해사건’으로 여성들은 각성했다. ‘피해자’로  않고 구조의 문제를 지적하며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1년 전 ‘강남역 여성살해사건’으로 여성들은 각성했다. ‘피해자’로 않고 구조의 문제를 지적하며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너는 나다’, ‘나는 우연히 살아남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같은 마음으로 거리에 나왔죠. 사건 이후 페미니즘 활동을 이어가다가 퇴사하고 여성학과에 진학하거나 페미니즘 쪽으로 진로를 바꾼 이들의 이야기가 넘쳐나요. 그날 강남역 10번 출구에 모였던 사람들이 느낀 감정이 우리의 삶을 바꿨죠.”

지난 1년간 한국 사회를 휩쓴 페미니즘 열풍의 한복판에 있던 페미니스트들이 1년 전 ‘그 날’을 돌아봤다. 페미니즘을 모르던 여성들이 “‘여혐사회’의 현실에 눈을 뜨고, 증언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정치적 말하기의 경험”이었다. “여성혐오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운동을 넘어, 장애·성소수자 등 다양한 소수자 인권운동과의 폭넓은 연대로 나아간 계기”라는 평가다. 13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열린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에서 나온 말들이다. 페미니스트 그룹 ‘강남역10번출구’가 주최했다.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가 1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작구 대방동 여성플라자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열렸다. 페미니스트 그룹 ‘강남역10번출구’가 주최했다. ⓒ강남역10번출구 제공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가 1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작구 대방동 여성플라자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열렸다. 페미니스트 그룹 ‘강남역10번출구’가 주최했다. ⓒ강남역10번출구 제공

“강남역의 기록은 사실 승리의 기록은 아니었다”라고 강남역10번출구의 이지원 씨는 말했다. “페미니즘이라는 거대한 물살에 휩쓸린 페미니스트들이 하루하루 커다란 감정의 파고를 겪으며, 생전 고민해 보지 않았던 주제로 치열하게 고민했던” 시간이었다.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이후 숱한 자유발언대와 시위, 캠페인 등을 주도하고 진행해온 ‘강남역10번출구’ 활동가들에겐 “모든 게 처음이었고 버거웠지만 그래도 해내야만 했던 시간”이기도했다. 험난한 여정이었지만, “여성들이 ‘피해자’로 남지 않고 구조의 문제를 지적하며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하게 된 혁명적인 사건”이라고 봤다.

끝없는 젠더폭력의 악순환을 낳은 ‘젠더 질서’를 의심하고 고민하자는 이야기도 나왔다.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당시 “한국에 여성혐오 범죄는 없다”고 선언한 정부는 ‘여성폭력’ 대책으로 남녀 화장실 분리, 정신장애 관리감독 강화 등을 내놓았다. “이는 정부의 무능력이 문제일 수도 있지만, 젠더폭력이 발생하는 구조를 바꾸려는 권력 자체가 젠더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라고 퀴어활동가 나영정 씨는 말했다. “남성 화장실과 여성 화장실 사이의 장애인 화장실을 볼 때면 장애인의 젠더는 어떻게 여겨질까 싶어요. 남녀 화장실에 맞지 않는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의 존재는? 남성 간 합의에 이뤄지는 성관계를 ‘폭력’으로 규정하고 처벌하는 군형법 조항은 왜 필요할까요?” 그는 “‘국민 통합’ 등을 내세우면서 우리 사회의 공고한 젠더 질서를 유지하려는 국가의 태도”와 “인권, 진보의 미명하에 소수자를 배제하는 정책”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가 1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작구 대방동 여성플라자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강남역10번출구의 이지원 씨, 퀴어활동가 나영정 씨, 장임다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강남역10번출구 제공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 집담회가 1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동작구 대방동 여성플라자 성평등도서관 ‘여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강남역10번출구의 이지원 씨, 퀴어활동가 나영정 씨, 장임다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강남역10번출구 제공

‘여혐사회’에서 여성이 안전한 사회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평등”이라고 장임다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말했다. “우리가 안전하려면 여성혐오 사회를 바꿔야 해요. 스코틀랜드 정부가 2014년 발표한 여성폭력 예방책인 ‘Equally Safe’가 좋은 예죠. 폭력의 해법으로 처벌 강화 같은 사후적 조치를 이야기하기보다는 ‘평등’과 ‘상호 존중’을 이야기하죠.” 

강남역 여성살해사건 1주기인 오는 17일엔 서울 지하철 신논현역 6번 출구에서 범페미네트워크 주최로 ‘우리의 두려움은 용기가 되어 돌아왔다’ 추모문화제가 열린다. 많은 시민들의 참가가 예상되므로 더 넓은 공간에서 문화제를 진행하고자 강남역이 아닌 신논현역 부근에서 모여 출발한다. 참가자들은 강남역 일대를 행진하며, 강남역10번출구에 멈춰 자유발언과 헌화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