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신문은 페미당당과 함께 서울에서 만난 다양한 페미니스트들의 모습을 소개하는 ‘페미설(페미니스트 인 서울) 프로젝트’를 매주 연재합니다. 모든 텍스트와 이미지의 저작권은 페미당당 페미설 프로젝트팀에게 있습니다. 독자의 의견은 saltnpepa@womennews.co.kr나 페미설 프로젝트(www.facebook.com/FeministsInSeoul), 페미당당(www.facebook.com/femidangdang)으로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바이섹슈얼이에요.

커밍아웃했어요. 동성애를 혐오하는 사람들은 좀 헷갈리고 있는 것 같아요. 성 중독과 동성애는 완전 다른 거잖아요. 자기 친구들이나 자기가 아는 사람, 자기 가족, 친척 중에 퀴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면, 그런 가능성을 생각한다면 저런 더러운 말을 할 수 있을까? 그걸 알고서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을까? 그래서 저는 가시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커밍아웃했어요. 개인이 뛰쳐 나와서 ‘내가 퀴어다!’ 라고 선언하는 것이 액션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했거든요. 저는 항상 그걸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당신의 친구, 가족. 당신의 가장 친한 사람들이 당신이 내뱉은 많은 말에 의해서 상처를 받고, 정체성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그런 것이라고.

나중에는 동성애라는 말 자체가 사라졌으면 좋겠어요. 그냥 그런 반대 세력이 없었다면 우리가 이렇게 힘들 이유가 없어요. 그래서 저는 나중에 퀴어 단체들이 필요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궁극적으로.”

“I’m bisexual.

I’ve come out. I think people who hate homosexuality are a bit confused. Erotomania and homosexuality are totally different. Would such dirty words still be spoken if people recognized that someone close to them, among their friends, family, relatives or acquaintances, is queer? Could they say the same things while knowing that? While considering that possibility? This is why I think representation through visualisation is crucial. So I came out. I felt an individual openly declaring 'I’m queer!’ was needed as an action. I would like if it was always remembered that the words you carelessly spit out hurts friends, family or your closest ones. That they find difficulty in confronting their own identity.

Someday I hope the word ‘homosexuality’ itself will cease to exist. If there simply were no opposing forces we wouldn’t be having such a hard time. I just wish that in the future queer organizations will no longer be needed, eventually."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