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정문으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서울대 정문으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우연히 2016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통계 관련 기사를 본 김에 오늘은 한국의 대학입시 논란에 관해 한 마디 거들고자 한다.

국회 국정감사 자료가 출처인 이 기사에 따르면 서울대 합격자 중 44.6%가 특목고·자사고 출신이며 일반고는 46.1%였다. 10년 전 특목고 등의 출신이 18.3%에 불과했고 일반고 출신이 77.7%였음에 비하면 엄청난 역전인 셈이다.

기자는 서울대가 특성화고를 제외한 전국 1765개 고교 중 47.5%의 고교에서 고르게 합격자를 냈다는 점에서 다양한 출신 배경의 학생들을 선발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비판했다. 올림피아드 성적을 배제하고 심층면접과 동아리 활동 등 비교과 영역까지 포함해 성적 중심의 전형 방식을 개선했다지만, 비교과 활동은 여전히 특목고·자사고 학생들에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기사를 보면서 잠시 상념에 잠겼다. 누구에게 잘못이 있는가? 기사는 은연 중 일반고 학생들을 홀대하는 서울대를 나무라는 것 같았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서울대가 심층면접을 하고 동아리활동 실적을 참고하는 것을 잘못됐다고 하기는 어렵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시행하고 있는 것들이다. 드문 경우일지 몰라도 수능 점수가 훨씬 높은 학생 대신 낮은 점수의 학생이 합격한 사례는 반갑기만 하다. 물론 서울대도 다소 불리한 여건에 있는 일반고 아이들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 찾을 필요는 있다. 더 큰 과제는 잘 준비한 아이들을 뽑는 것 이상으로 입학 후 그들을 정말 바람직한 인재로 길러내는 일일 것이다.

일반고 출신 비율이 현격하게 낮아지고 있다는 사실은 걱정되는 일이다. 내가 보기에는 서울대만의 문제는 아니다. 더 큰 책임은 일차적으로 일반고에 있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정책 당국이 반성해야 할 일이다. 왜 일반고는 동아리 활동을 특목고처럼 하지 못하는가? 물론 이에 대해 일반고 관계자들은 봇물 터지듯 하고 싶은 말이 많을 것이다.

그렇다고 지금처럼 새로운 시대에 맞지 않는 방식의 단순한 지식 암기 교육을 답습할 것인가? 여건이 불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교사나 학교 운영자들의 상상력 부족이다. 칼럼에서 여러 차례 지적했듯 교육에 관한 기존의 고정관념과 관행을 과감히 버리면 새로운 세계가 보일 수 있다. 이미 여러 학교들이 그러한 시도를 하고 있지 않은가? 노력하지 않는 자에겐 기회가 오지 않는다는 격언을 곱씹어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