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단층과 울산단층의 제4기 단층노두 위치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의 제4기 단층노두 위치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부산·울산 원전단지에서 인접한 곳에 최대 8.3 규모에 달하는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를 인용해 “양산단층은 최대 7.6, 울산단층은 최대 8.3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22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2일 규모 5.8 강진이 발생한 양산단층 외에도 고리원전 인근 일광단층과 월성원전 인근 울산단층이 모두 활성단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두 단층은 고리원전, 월성원전 등 원전 14기가 밀집해있는 원전단지와 인접해 있다. 일광단층과 고리원전의 직선거리는 고작 5km에 불과하다. 고리원전 일대는 원전 8기가 가동 중이고 2기가 추가 건설 예정인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이다. 울산단층도 원전 6기가 밀집된 월성원전과 인접해 있다.

추 의원은 울산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그 규모가 최대 8.3에 이를 수 있으며, 양산단층에서도 최대 7.6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원전은 규모 6.5~7.0 수준까지 견디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만약 이러한 강진이 일어난다면 국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이 보고서는 지난 2012년 소방방재청에 보고됐지만 ‘조사가 더 필요하다’는 이유로 비공개됐고, 이후 정부는 원전단지 지역의 원전 건설을 계속 승인해왔다.

추 의원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지진학계와 원자력계에서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월성1호기 등 원전의 내진설계 등 안전성 검증에서 활성단층이 배제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가 폐기된 것이 원자력계의 반발 때문이라는 것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이어 “해당 보고서의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 기간이 짧아 신뢰성이 낮다는 주장은 우리나라 활성단층에 대한 정밀조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정부는 먼저 원전과 국가 주요 산업시설이 밀집된 동남부지역의 활성 단층대를 조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