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기대수명 높지만

전반적 건강 수준 낮아

교육·수입·고용형태 살피고

비혼·폭력 이슈 담아야

 

서울 은평구 보건소에서 젊은 여성이 폐렴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을 하고 있다.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cialis manufacturer coupon site cialis online coupon
서울 은평구 보건소에서 젊은 여성이 폐렴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을 하고 있다.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cialis manufacturer coupon site cialis online coupon
ⓒ여성신문DB

여성 건강문제를 이해하고 전체 윤곽을 볼 수 있는 여성 건강지표와 통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기에는 교육과 수입, 고용형태 등 여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반영하고 비혼, 여성폭력, 성형 등 최근 이슈가 담겨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선진국의 여성건강국처럼 젠더적 측면에서 여성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춘 ‘젠더건강과’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남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건복지포럼』 5월호에 발표한 ‘한국의 여성 건강지표: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여성건강 증진을 위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요인과 젠더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와 함께 여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개발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생애주기에서 임신, 출산같은 여성만이 경험하는 건강 문제가 있다으며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거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질병도 존재한다. 특히 성 역할의 차이로 여성은 교육과 수입, 고용 측면에서 남성보다 열악한 위치에 있고, 이러한 사회경제적 능력의 제약은 여성이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정상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다. 여성건강 통계는 이러한 여성건강 이슈를 분석하고 여성건강 증진에 필요한 정책과 사업수행의 중요한 근거자료와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정기적으로 여성건강과 관련된 지표를 산출하고 있다. 지표는 여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포함한다. 특히 단순히 성별 차이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같은 젠더 내에서도 차이를 분석해 정책 대상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보건부와 보건자원서비스청(HRSA)이 2001년부터 여성 건강통계집인 ‘위민 헬스 USA(Women Health USA)’를 매년 출간하고 있다. 여성의 지위, 건강위험 요인, 보건의료이용에서 있어 성, 인종, 민족을 비롯해 교육과 수입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둔다. 분석 결과는 정책입안자가 지역수준별로 여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

캐나다는 여성 통계인 ‘위민 인 캐나다(Women in Canada: A Gender based Statistical Report)’에서 여성건강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세히 제시한다. 캐나다 여성 건강지표의 특징은 건강인식 항목에 웰빙 개념을 포함하고, 만성질환이 고용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건강개선 노력에 대한 지표를 담고있다는 점이다.

김유미 동아대 의과대학 교수도 여성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건강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성 건강지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건강: 기대수명, 사망률 및 주관적 건강지표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 오래 살지만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나쁘고, 알츠하이머병과 자살은 증가율이 남성을 추월했다”며 “상대적으로 소외된 여성 건강의 문제를 의제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통계집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의 기대수명은 84.1세로 남성(77.2세)보다 6.9년 더 많았다. 그러나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자신의 건강 상태가 나쁘다고 평가하는 65세 이상 여성은 47.3%로, 여성 노인의절반에 달했다. 45~64세 여성의 27.2% 역시 자신의 건강 수준을 부정적으로 판단했다.

여성건강을 증진하고 가임기 여성건강에 초점이 맞춰진 여성건강 정책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가족부 내에 ‘젠더건강과’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명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은 1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주최한 ‘제2차 여성건강포럼’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서 “여성은 전업주부가 많아 직장 근로자보다 건강돌봄의 질이 낮을 수 있고, 성폭력과 가정폭력의 피해도 크다”며 “문화적 요인이나 임상실험에서도 남성에 초점에 맞춰지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원장은 “현재 여성건강에 대해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가 담당하고 있지만 가임기간의 여성건강 정책만 집행하고 있다”면서 “출산 전후의 여성 질병 치료에서 벗어나 사회학·생물학적 환경을 고려, 성별 맞춤형 생애주기별 보건정책이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