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연, 성인 2000명 조사 결과

성별격차 체감도 男이 女보다 낮아

‘가족’ 분야 남녀 격차 가장 커

‘육아·가사는 여성 몫’ 인식 여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69세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성별격차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들은 모든 분야에서 여성보다 성별격차를 덜 느끼고 있었다.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69세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성별격차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들은 모든 분야에서 여성보다 성별격차를 덜 느끼고 있었다.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일러스트 김성준

세계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나라이자, 일하는 여성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인 사회 현실을 외면한 채 “여성 상위 시대가 왔다”고 주장하는 남성들이 있다. 한국의 성평등 수준이 세계 115위로 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세계경제포럼(WEF)의 발표 보도기사에는 “통계 방식이 잘못됐다”거나 “역차별도 상당하다”는 남성들의 댓글 수백 개가 달렸다. 극소수 최상위층으로 인한 착시 현상을 현실이라고 믿는 탓이다. 남성들이 도달했다고 믿는 성평등 수준과 실제 사회 현실 사이에는 커다란 틈이 있는 셈이다.

실제로 남성들의 성별격차 체감도가 여성들보다 낮다는 사실이 통계 수치로도 재확인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성 주류화 기반 정책 평가제도의 성평등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보고서에서 20~69세 성인 2000명(여성 982명, 남성 10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체감도는 각 분야별 성별격차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는 정보를 말한다. 조사는 경제활동, 가족, 교육·직업훈련, 문화·정보, 건강·보건, 복지, 안전, 대표성 등 8개 분야로 나눠 이뤄졌다.

 

8개 분야 성별격차 체감도 (출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 주류화 기반 정책 평가제도의 성평등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보고서)gabapentin generic for what http://lensbyluca.com/generic/for/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8개 분야 성별격차 체감도 (출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 주류화 기반 정책 평가제도의 성평등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보고서)
gabapentin generic for what http://lensbyluca.com/generic/for/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본인의 양성평등 의식 정도를 묻는 질문에 남성이 6.47점(10점 만점)으로 여성(6.17점)보다 “양성평등 의식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성별격차 체감도 조사 결과에선 그 반대였다. 모든 분야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성별격차를 덜 느꼈다. 경제 분야에서 성별격차가 크다고 느끼는 남성들이 많은 반면, 문화·정보 분야에선 성별격차 체감도는 가장 낮았다. 남성의 성별격차 체감도를 1~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조금 미흡’과 ‘보통’ 수준인 2.98~3.70점에 그쳤다. 여성은 이보다 조금 더 높은 3.43~3.94점이었다. 

남성과 여성의 성별격차 체감도가 가장 크게 차이나는 분야는 ‘가족’이었다. 가족 분야 전반에 대한 남성의 성별격차 체감도는 ‘보통’인 3점대였다. 반면 여성의 성별격차 체감도를 세부 정책과제별로 살펴보면, ‘전업주부의 육아·가사 부담’만 3.84점으로 3점대였다. 이외에 ‘직장맘의 육아·가사 부담’, ‘남성의 육아 참여 저조’, ‘남성의 가사 참여 저조’, ‘여성의 가족간호·돌봄 부담’은 모두 ‘조금 심각’ 수준인 4점대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가사 참여 저조’ 부문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0.58점으로 가장 컸다.

이 같은 결과는 남성들은 스스로 가사와 돌봄에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여성들은 가사·돌봄 분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통계청의 ‘2015년 일ㆍ가정 양립 지표’에 따르면,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하루 40분, 여성은 3시간 14분(194분)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4.9배 정도 더 집안일을 하고 있었다. ‘가사독박’과 ‘육아독박’은 여성이 경력단절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조사를 총괄한 김경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정책연구실장은 “남성들은 과거보다 가사·돌봄에 많이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여성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여성과 남성 사이에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성별격차 체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분야는 남녀 모두 ‘경제활동’ 분야였으나, 성별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는 ‘안전’ 분야가 꼽혔다. 성별격차 체감도와 정책 요구 사이에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남성보다 20%포인트 이상 낮고, 이 원인이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과 관계가 있음에도 응답자들은 경제활동참여율 같은 지표에 대해서는 체감도가 낮았다. 반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경력단절 현상에 대한 체감도는 높았다.

김 실장은 정책적으로는 정부 부처별 성평등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장관과 기관장 업무평가에 양성평등 관련 항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