껴안으려는 순간 피해자가 소리를 질러 멈췄다면 신체접촉이 없었어도 강제추행미수죄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김용덕 대법관)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과 주거침입 혐의로 기소된 박 모씨의 상고심에서 주거침입만 유죄로 인정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고 6일 밝혔다. 

박씨는 지난해 3월 경기도 광명에서 혼자 걸어가던 김 모(17)양을 발견하고 마스크를 쓴 채 200m 정도 따라갔다. 

박씨는 인적이 없는 곳에 다다르자 김양을 껴안으려 했지만 인기척을 느낀 김양이 뒤를 돌아보며 소리를 지르자 실패했다. 

이후 박씨는 같은해 7월에 광명의 한 주택에 침입해 재판에 넘겨졌다. 

1심은 박씨에게 적용된 강제추행미수와 주거침입죄를 모두 유죄로 인정, 징역 1년 6월을 선고했지만, 2심은 강제추행미수를 무죄로 보고 징역 10월로 감형했다. 

2심 재판부는 “박씨가 김양을 뒤따라 가다가 1m 정도 간격을 두고 양팔을 들어 벌린 자세를 취했을 뿐 반항이 곤란할 정도로 폭행이나 협박을 하지는 않았다”며 강제추행에 착수했다고 보기 어려워 미수도 인정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대법원은 “피고인의 팔이 피해자의 몸에 닿지 않았더라도 양팔을 높이 들어 뒤에서 껴안으려는 행위는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의 행사로서 폭력에 해당한다”며 “기습추행에 착수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