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철·이원덕 등 집필진 10명 구성
영어·중국어·일어 등 해외판으로도 발간

 

7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13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서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가 인사를 하고 있다.
7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13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서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가 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정부가 2015년 하반기 공개될 '일본군‘위안부’ 백서' 집필진을 구성하면서, 위안부 백서 제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위안부 백서를 영어, 중국어, 일어 등 다양한 외국어로 번역할 것을 결정하면서 정부의 위안부 백서가 국제백서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여성가족부는 8월 4일 고노담화 21주년을 맞아 국민대 일본학연구소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와 공동으로 일본군‘위안부’ 백서를 발간한다고 3일 밝혔다. 

위안부 백서는 최근 일본 아베 신조 내각이 고노담화 검증 결과 보고서 발표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를 보인 것에 대한 대응 조치다. 위안부 피해 실상을 낱낱이 알려 일본의 역사왜곡에 맞불을 놓겠다는 취지다. 정부 차원에서 위안부와 관련한 백서를 만드는 것은 처음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본군‘위안부’ 백서는 1992년 국무총리실 산하 17개 부처가 참여한 ‘정신대문제실무대책반’의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발간 이후 ‘위안부’ 문제 관련 새로 발굴된 자료와 연구 성과, 국제기구, 시민단체, 각국 의회 등 활동을 토대로 ‘위안부’ 범죄와 피해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한 보고서 형태로 발간될 예정이다.

여성가족부는 백서 발간을 위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전문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한일관계사 연구자와 외교 국제법 분야의 전·현직 실무자 등 10명을 집필진으로 구성했다. 여성가족부 차관을 단장으로 외교부, 동북아역사재단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정부위원과 민간위원 19명으로 구성된 자문도 운영할 계획이다.

일본군‘위안부’ 백서는 역사, 정책, 국제법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분석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먼저 역사 분야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책임연구원 이신철 연구원)가 중심이 되어 집필을 주도하게 되며, 일본군 위안소 제도를 일본제국의 전쟁, 식민지 지배 정책이라는 큰 틀 속에서 조망하고 위안소 제도 및 ‘위안부’ 피해에 대하여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된다.

정책 분야는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책임연구원 이원덕 국제학부 교수)가 중심이 되어 집필을 주도한다.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및 일본의 입장과 국제동향 등의 문제를 다루며, 일본의 전후 동북아의 정치·외교적인 국제질서 속에서 ‘위안부’ 문제를 조망하고, 한국정부와 일본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지금까지 해왔던 대화와 갈등을 시계열적으로 정리할 예정이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위안부’ 운동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움직임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고, 1990년 이후 ‘위안부’ 피해에 대해 한국정부와 일본정부가 행한 진상규명 결과, 한국의 과거사 관련 위원회에서의 진상규명 활동, 역사교육과 ‘위안부’ 역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정리한다.

국제법 분야에서는 ‘위안부’ 관련 일제강점기와 전후 관련 법령과 국제협정 분석 등을 통해 ‘위안부’ 제도가 인도에 반하는 범죄로, 국제법적으로 명백하게 범죄행위임을 분석한다.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백서는 1992년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발간 이후 발굴된 새로운 자료와 연구 성과 및 국제 사회 목소리를 근거로 발간하는 백서로, ‘위안부’ 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의 진실과 실태를 국제사회에 바로 알리기 위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외국어로 번역해 국제사회에 보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