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영화 ‘프랑스인 김명실’
프랑스 입양아, 김명실의 일상 통해 해외입양의 이면 다뤄

 

쎄실(김명실)의 가족 사진.free prescription cards cialis coupons and discounts coupon for cialis
쎄실(김명실)의 가족 사진.
free prescription cards cialis coupons and discounts coupon for cialis
ⓒ어뮤즈

지난 2월 3일 미국으로 입양된 세 살배기 한국인 남자 아이가 입양 104일 만에 양아버지의 구타로 두개골이 골절돼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 현지와 국내 여론은 들끓었고 해외입양 제도의 허술한 관리시스템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잇따랐다.  

이 같은 충격적인 사건이 아니더라도 해외입양의 실체와 어두운 이면을 담아내는 작품들은 해외입양의 성공사례에 익숙해져 막연히 입양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던 이들의 사고에 균열을 내고 있다. ‘프랑스인 김명실’(감독 이지현)도 그 중 하나다. 지난달 개봉한 ‘피부색깔=꿀색’(감독 융 헤넨․한국명 전정식)이 벨기에 입양아인 감독의 아픔을 그린 자전적 다큐멘터리라면 ‘프랑스인 김명실’은 프랑스로 입양된 한 여성의 일상을 제3자의 시선으로 따라가며 해외 입양아들이 어린 시절부터 겪었을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쎄실(김명실)과 함께 만찬을 준비하는 세실의 어머니.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prescription drug discount cards site cialis trial coupon
쎄실(김명실)과 함께 만찬을 준비하는 세실의 어머니.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prescription drug discount cards site cialis trial coupon
ⓒ어뮤즈

이지현 감독이 프랑스 유학시절 만난 쎄실 들래트르(한국명 김명실)는 1971년 한국에서 태어나 26개월 때 프랑스로 입양됐다. 어울리지 않는 영화 제목은 프랑스인이면서도 이방인으로 살 수 밖에 없는 해외 입양아들의 외로운 현실을 나타낸다. 

“대부분 외모를 보고 실수하지. 날 프랑스인이라고 생각지 않아. 프랑스 문화권에서 쭉 자랐는데 이방인으로 날 바라보는 시선, 이상하지 않아?” 영화 초반 쎄실이 던지는 말은 해외입양 아동수 세계 6위로 ‘고아수출국’의 꼬리표를 단 한국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 전쟁고아 8명이 미국으로 입양된 후 지금까지 약 20만 명의 한국인 아동들이 국내외로 입양됐다.

이지현 감독은 프랑스인이 돼야 했던 한 개인의 사연과 경로를 탐색해가며 해외입양의 전체 문제로까지 영화가 다루는 범위를 확대시킨다. 영화에는 세실과 남자친구, 그의 가족뿐 아니라 남자 아이를 국내 공개입양한 이진숙 씨 가정의 사연과 해외 입양아들을 비행기에서 만나온 외항사 승무원들의 인터뷰 내용, 입양관련 기관 관계자들의 발언이 등장한다. 

이 감독은 “한국 내 해외입양 기관이 기업화돼 있어 너무나 쉽게 아이들이 해외로 보내지고 있다. 피치 못할 사정이 있어도 해외 입양은 지양돼야 한다”며 “입양특례법이 시행된 후 나쁜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기관이나 법의 문제를 떠나 이 영화를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해외 입양에 관심을 갖고 좋은 방향으로 변화해 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해외입양 관련 기사를 보는 쎄실의 어머니.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해외입양 관련 기사를 보는 쎄실의 어머니.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어뮤즈

한국에선 입양 아동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입양특례법이 지난해부터 시행되고 있다. 입양 전 아동의 출생신고를 의무화하고 입양숙려제(입양에 대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친부의 입양 동의는 출생일로부터 1주일이 지난 뒤 이뤄지도록 하는 제도)를 두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하지만 제도 시행 후 신분 노출을 두려워한 미혼모들이 아이들을 몰래 버리는 사례가 증가했다. 

2013년 여름 한국을 방문한 쎄실은 몰라보게 발전한 고국의 모습을 보며 이 감독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고 한다. “왜 한국은 아직까지 해외입양을 보내는 걸까?” 우리는 그녀의 물음에 최소한의 응답을 해야 한다. 해외 입양에 대한 관심이 그 출발이 될 것이다. 

6월 개봉. 75분 전체관람가.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