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위해 편지와 여행 등 접촉 기회 넓혀야”
“통일 위해 편지와 여행 등 접촉 기회 넓혀야”
  • 이하나 / 여성신문 기자
  • 승인 2014.04.15 11:51
  • 수정 2014-04-18 1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롤프 마파엘 주한 독일대사가 본 ‘통일대박론’
독일 통일은 접촉·교류로 이뤄낸 동독 주민들의 자발적 선택
“사회적 통합 쉽지 않지만 통일은 중장기적으로 행운”

 

롤프 마파엘 주한 독일대사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롤프 마파엘 주한 독일대사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독일 통일을 이끈 ‘동방정책’의 3가지 핵심은 첫째도 접촉, 둘째도 접촉, 셋째는 교류였습니다.”

롤프 마파엘(59·사진) 주한 독일대사는 11일 오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28회 포럼 본(forum BORN)에 참석해 독일 통일정책의 핵심을 이같이 설명했다.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이하 양평원) 주최로 열린 이날 포럼의 강연자로 참석한 마파엘 대사는 “독일 통일은 평화통일을 원한 동독 정권과 ‘우리는 한 민족이다(Wir sind ein Volk)’라고 외치며 자발적으로 통일을 선택한 동독 시민들에 의해 이뤄낼 수 있었다”며 “동독에 대한 재정 지원, 동·서독 간 편지와 전화 교류 등 동독이 서독과의 교류를 어느 정도 인정했기에 통일도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남북한 교류는 어떻게 이뤄지고, 얼마나 허용하고 있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마파엘 대사는 하이델베르크대와 베를린대에서 법학을 전공한 뒤 만하임 검찰청에서 근무했다. 1985년 독일 외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나토 상설대표부 근무, 유럽정책조정과장, 유럽국 담당관 등을 거쳐 2012년 7월 주한 독일대사로 부임했다.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국빈 방문에도 동행했다.

마파엘 대사가 설명한 ‘동방정책’은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과 닮아 있다. 그러나 분명한 차이점도 엿보인다. 그는 “서독은 정권이 교체돼도 꾸준히 동독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면서도 “그러나 재정적 지원을 하면서 동독으로부터 편지 교환 등 인적 교류와 관련해 일정한 대가를 얻어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동·서독 주민들은 편지 교환과 전화 통화는 물론 상대국 여행도 할 수 있었고, 양국의 TV 뉴스를 시청할 수 있었다. 동독에서 서독으로 여행한 사람은 매년 170만 명씩 증가했고, 1980년대에는 매년 2300만 건의 통화가 이뤄졌다. 인적 교류가 활발해지는 만큼, 동독 내부에서는 서독에 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와 함께 서독 정부가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동독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한 점, 20년간 동독을 향한 일관된 열린 정책을 고수한 점이 독일 통일을 견인한 힘이라는 설명이다. 

마파엘 대사는 박 대통령이 최근 주장한 ‘통일대박론’에도 깊이 공감했다. 그는 “독일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15년간 어려운 시기를 지냈지만, 25년이 지난 지금은 정치적·경제적 안정을 누리는 강대국으로 거듭났다”고 말했다. 독일 통일은 베를린장벽이 붕괴되며 갑자기 이뤄졌지만, 정치적 통일은 그 후 20년 만에 완성됐다. 동독 출신인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 당선이 그 시점이다. 마파엘 대사는 “독일의 경제적 통일은 현재진행형으로 30년이 걸릴 전망이고, 사회적 통합은 분단 기간과 같은 4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정한 통일을 이루는 길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파엘 대사는 현재 한국 정부가 통일정책의 근간으로 삼고 있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마파엘 대사는 “독일 통일 과정에서도 미국과 소련은 물론, 전쟁 피해국이었던 프랑스, 폴란드와 신뢰관계를 구축한 것이 독일 통일의 밑거름이 됐다”며 “북한 지도부가 이러한 제안이 국민을 위한 긍정적인 면이 많다는 것을 깨닫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조찬포럼을 연 김행 양평원 원장은 “정치적·경제적으로 통일의 완성을 이룬 독일의 사례가 우리나라의 상황과 꼭 맞아 떨어지진 않지만, 독일의 사례를 모델로 박근혜 대통령의 준비된 통일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여성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내야 한다”며 통일 과정에 여성들이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