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6만2000명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증가율, 남성이 여성보다 4.7배 높아

 

늦은 결혼과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등으로 남성 불임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불임은 1년간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졌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12일 국민건강보험 진료 통계에 따르면 불임으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전체 환자는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성별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11.8%로 여성(2.5%)보다 4.7배 더 높았다.

남성의 불임 증가율은 35~44세가 16.2%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45~49세가 12.8%로 그 뒤를 이었다. 여성의 경우 35~39세 10.8%, 40~44세 10.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20대 여성은 5~7%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에는 불임인 경우 여성의 문제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최근 불임 원인에 대해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 같은 인식은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으나 불임의 원인 제공은 남성 인자도 분명히 있다”며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매우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정 교수는 남성 불임 환자의 증가는 업무 스트레스, 고령화, 환경호르몬 등의 원인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