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경력단절 여성 등 전 계층의 창업활동
지원하는 유기적 인재 양성 프로그램 필요“

박근혜 정부의 140개 국정과제의 하나인 ‘여성 경제활동 확대 및 양성평등 확산’의 첫 번째 세부 추진 계획은 ‘미래 여성 인재 10만 양성’이다. 3월에 10만 여성 인재풀 확충 계획을 수립해 현재 3만 명인 여성 인재풀을 2017년까지 10만 명으로 확충하고, 5월에는 여성인재아카데미 설치·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6월에 개소해 2017년까지 3만 명의 인재 양성 교육과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2017년까지 4급 이상 여성 관리자 임용 목표 15%를 달성하고,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임용목표제를 수립해 경영 평가에 반영하는 정책도 포함돼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의 여성 관리자를 확대하는 데는 행정 수반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다시 희망을 걸어본다. 마찬가지로 각 분야에 숨어 있는 여성 인재를 적극 발굴해 국가인재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한다면 유용할 것이다. 여성 인재 양성교육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 매우 반갑다. 다만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위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우선 대상을 누구로 할지, 교육의 목적과 주 콘텐츠를 어떻게 설정할지 등은 광범위한 분석과 타당성 검토를 필요로 한다.

3월 29일 여성가족부의 대통령 업무보고에 의하면 여성인재아카데미에서는 ‘중소기업과 전문직 여성들도 대기업에 비견되는 경력 개발과 리더십을 갖출 수 있도록 전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워크숍 등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회 선배 및 중간관리자와 교류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한다고 돼 있다. 즉 중소기업과 전문직 여성의 리더십 교육이 여성인재아카데미의 핵심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여성 관리자들이 경력 개발과 리더십 교육 기회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전문직도 그렇다. 전문성만 가지고 유능한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닌데, 의외로 전문직들은 리더십 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하다.

하지만 정부에서 설치하는 인재 아카데미가 중소기업과 전문직 여성을 가장 우선 대상 집단으로 삼는 것이 타당한가. 교육 내용을 어떻게 특화할 것인가. 일례로 이미 산업통상자원부(전 지식경제부)에서도 비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중소기업 인력 양성 정책을 광범위하게 실시하고 있어, 서로 어떻게 연계 또는 차별화할지 고민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숫자에 너무 연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공급자(이 경우는 정부) 입장에서는 숫자가 중요할 수 있지만, ‘왜, 어떤 인재를 양성할 것인지’가 더 중요하다.

우리 사회가 육성해야 할 여성 인재상은 과연 어떤 것일까.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 대학, 기업 등 관련 주체가 어떻게 책임을 분담하고 대상 집단과 프로그램을 차별화하면서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대안적인 리더십의 동력을 마련할 것인가. 기존 경제체제에 수동적 참여를 전제하는 여성 인재 정책은 한계가 있다. 여성 스스로 창업을 통해 능동적으로 경제활동을 주도하고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대학생, 취업 여성, 전문직 여성, 경력단절 여성 등 전 계층의 창업활동을 지원하는 유기적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아쉽다. 우리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기여할 수 있는 창조적 여성 인재 양성의 청사진이 필요하다.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