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주의·칸막이 행정 벗어나 ‘주민 주도’로
참여 시작한 주민들의 관계망 회복에 중점

회색 도심 한복판에 ‘마을’이 뜨고 있다. 전국에 ‘마을 만들기’ 붐을 일으킨 서울시는 마을공동체 사업을 총괄할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이하 센터)를 만들어 민간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문을 연 센터의 대표는 마을 만들기 사업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마포 성미산 마을 공동체를 이끈 유창복(42)씨가 맡았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홍효식 / 여성신문 사진기자 yesphoto@womennews.co.kr

“처음부터 관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에 대해 성과주의와 칸막이 행정, 형식적인 민-관 거버넌스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가들도 잘 알고 있는 부분이었지요.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사업을 민간에 위탁하고, 참여 인원이나 추진 사업 수보다는 주민들이 어떻게 참여하고 발전했는지 내용으로 관심을 바꾸자고 했지요.”

1년에 한 차례 진행되던 공모사업도 1년에 세 차례 마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으면 센터에 제안서를 내고 지원받을 수 있도록 ‘뷔페식’으로 바뀌었다. 그렇게 지난 1년간 3000여 명의 주민이 참여해 부모 커뮤니티, 공동육아 등 500여 개의 주민 제안 사업이 시작됐고 서울형 마을기업도 200여 개나 생겼다. 주민이 주도하는 상향식 사업을 위해 지원 문화를 바꿔 주민의 눈높이에 맞춘 행정이 주효했다.

유 대표는 “아쉬운 사람이 우물을 파야, 그 사람이 우물을 지킨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주민 누구라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서울형 마을기업은 5명이 모이면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마을기업 창업 컨설팅을 돕는 ‘인큐베이터’를 구별로(마다??) 배치해 주민들이 필요로 할 때 상담하고 창업 정보를 지원했다”며 “규모가 작고 만만해지니 주민들이 ‘별것 아니네. 우리도 한번 해보자’고 나설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무엇보다 마을 공동체의 중심에는 ‘여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마을 기업을 창업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마케팅이나 재무관리가 아니에요. 돈이 아닌 안면이 필요하고, 주민들의 관계망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바로 여성이 마을의 핵심 일꾼이에요. 오지랖 넓은 엄마야말로 확실한 마을 사업의 적임자죠”

옆집에 누가 사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단절된 도시가 마을로 거듭나려면 관계망 회복은 필수 요건이다. 유 대표도 지난해가 마을 만들기 사업의 ‘씨앗기’였다면 올해는 싹이 튼 씨앗들을 뿌려 움틀 수 있도록 가꾸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는 주민이 등장하는 한 해였다면 올해는 주민 참여를 독려하는 동시에 참여한 주민들을 서로 연결해 관계망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복지가 단순한 수혜자와 피수혜자 관계에서 벗어나 함께 살아가는 관계망으로 재편될 수 있도록 주민들을 연결하고 판을 깔아주는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