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뿐인 정책보다 아이를 함께 키울 수 있는 시스템 확산돼야
죄책감·미안함보다는 자신의 결정에 믿음을 갖고 자신을 사랑해야

 

일러스트 난나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prescription drug discount cards site cialis trial coupon
일러스트 난나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prescription drug discount cards site cialis trial coupon
대한민국 ‘워킹맘’(Working Mom 일하는 엄마)들은 고달프다. 남편과 똑같이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아이를 키우고 집안일도 전담한다. ‘돕는’ 남편이 늘었다지만 여전히 가사는 여성의 몫이라는 생각이 깔려있는 듯해 얄밉다. 또 친정어머니나 베이비시터 등 또 다른 여성의 희생 없이는 직장에 다닐 엄두도 내지 못하는 게 워킹맘의 현실이기도 하다.

버거운 현실 속에서도 일과 생활의 균형을 찾고 열심히 살아가는 워킹맘 이은경(46·도서출판 세경 대표), 이승언(38·한살림 서울생협 기획관리부 부서장), 김기리(37·성공회 사제)씨 등 3명이 8일 저녁 서울 정동 여성신문사 편집국에 모였다.

이들은 일과 육아라는 두 전선을 오가며 쌓인 애환을 속 시원히 털어놨다.

육아는 절대적으로 ‘친정 의존’

-결혼해서 애 낳고 일해 보니 세상의 모든 워킹맘에 대한 존경심이 샘솟아요. 저도 워킹맘이지만 정말 일하면서 애 키우는 여자들 대단하죠.

-애 낳고 한 3주는 정말 우울했어요. 전에는 모든 시간이 온전히 내 것이었는데 애 낳고 내가 결정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는 거예요. 다른 일을 하다가도 애가 울면 바로 뛰어가야 되고. 그게 산후우울증이었나 봐요. 육아휴직 끝내고 복직해서도 저녁 6시만 되면 불안해진다니까요.

-일주일에 3일은 친정에서 살아요. 절대적 친정 의존형이죠. 친정 도움이 없거나 육아와 살림을 전담해주는 사람이 없으면 온전히 일에 집중할 수 없을 것 같아요.

-맞아요. 여자가 일하려면 친정엄마나 베이비시터라는 또 다른 여자의 희생이 필수라잖아요.

-친정에 빌붙어 살다 보니 관계가 좋을 땐 좋지만 친정 엄마와 조금만 트러블이 생겨도 참 어렵죠. 그래서 엄마도 저도 맘에 들지 않는 일이 있어도 조금씩 참고 그러는 것 같아요.

-친정 부모님과 한 집에 사는데 딱 어느 순간엔 경제적인 것에서 갈등이 생기더라고요. 무슨 일이 생기면 ‘내가 생활비를 적게 드려서 이렇게 말씀하시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애 봐주시는 건 정말 감사하지만 가끔 친정 엄마랑 육아 스타일이 달라서 피곤할 때도 많죠. 내 애를 내 맘대로 키우지 못한다고 할까. 그래서 아이가 버릇이 없어지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하죠.

-평일 저녁 약속 잡는 것도 진짜 눈치 보여요. 오랜만에 잡힌 약속이라도 사양하기 일쑤예요.

-저도 결혼 전엔 나름 화려한 밤생활(?)을 즐겼어요.(웃음) 하지만 지금은 다 청산했죠. 엄마가 하루 종일 애 보느라 힘든 거 아는데 저녁 약속 잡기가 참 눈치 보이더라고요. 지금은 온라인과 문자로만 인맥 관리를 하고 있어요.

-맞아요. 아예 1박2일 워크숍 같은 게 훨씬 마음 편하죠. 공식적으로 안 들어갈 수 있으니 술도 맘 편하게 마실 수 있으니까요. 오늘 좌담회도 1박2일로 잡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어요.(웃음)

포기할 수 없는 사회적 성취

-둘째 낳고나서 베이비시터가 여러 번 갑자기 펑크를 냈어요. 힘들게 친정에 맡기고 일하러 가면서 ‘내가 무슨 기생충인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아예 쉬는 게 두루두루 좋을 것 같아 집에 들어앉았지만 좀 지나니까 오히려 우울증이 오더라고요. 9년간 애 키우고 여행도 다니고 해봤지만 그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아 다시 일을 시작하게 됐죠.

-유전자가 다른 거죠. 우린 일하는 유전자가 발달했다고나 할까. 저는 살림도 육아도 잘한다고 생각하는데 일을 할 때는 더 행복하더라고요. 결국 육아와 살림에서 힘을 빼고 일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어요. 잘 하는 것보다 행복한 일을 선택한 거죠.

-경제적인 이유도 있죠. 하지만 입주 도우미 쓰고 어린이집에 아이 보내고 출퇴근용 옷도 좀 사 입고, 화장품도 사다 보면 집에서 애만 키울 때보다 돈이 더 들어 이게 버는 건가 하는 생각도 들어요.

-일을 하다보면 승진도 하게 되고 점점 조직에서 책임 있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그럴 땐 워킹맘이라는 이유로 조직의 배려를 기대하긴 어려운 것 같아요. 조직 안에서 책임자 혹은 관리자 급에 올라서면 애 엄마라는 것과 성(性)은 버려야 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직장에서 여성은 제가 처음이라 육아휴직 같은 제도가 전무했어요. 제가 들어오고 임신하면서 남자 동료들이 먼저 나서서 제도도 만들고 배려해주는 식이었죠. 결국 후배들은 편하게 되었죠.

-제가 회사 사장 입장에서 보면 육아 때문에 집에서 쉬고 있는 사람한테 일을 맡겨보면 일반 프리랜서보다 더 열정적이고 책임감 있게 일하는 걸 느낄 수 있어요. 이런 고학력 여성들이 집에만 있다는 건 국가적으로도 낭비죠.

‘돕는’ 남편 늘었지만…

-미국에서 목회를 하는 목사 친구가 있는데 지금 제일 필요한 게 ‘사모님’이라고 하더라고요.(웃음) 주위 목사들은 아내가 있어서 집안일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여자인 친구는 목회 일부터 집안일까지 도맡아 해야 하니 힘에 부친다고요.

-남편이 워커홀릭(workaholic) 수준이라 30대 때는 거의 과부로 살았어요. 남편은 낮엔 직장, 밤에는 세컨드 잡(second job)에 책까지 쓰니, 얼굴 볼 시간조차 없었어요. 딸이 아빠에게 하는 인사가 ‘안녕하세요’였을 정도였으니까요. 덕분에 얼굴 볼 일이 없어 싸울 일도 없더라고요.(웃음)

-제 남편은 제가 복직할 때 일을 그만두고 육아를 전담하고 있어요. 남편이 애 키우면서 여자들은 대단하다는 말을 많이 해요.

-정말 부럽네요. 제 남편은 화재경보가 울려도 잠에서 깨지 않는 사람이에요. 애가 새벽에 배가 고파 울어도 단 한 번도 우유를 안 주더라고요.

-제 몸이 힘드니까 부부 잠자리도 피하게 되더라고요. 남편이 아는지 모르는지, 제가 거절해도 계속 요구해서 힘들어요. 친밀감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마음은 알겠는데 몸이 안 따라주는 걸 어쩌라고요.

-정말 주변 얘기 들어보면 맞벌이 부부 중에는 섹스리스(sexless)도 많다더라고요.

-저도 애 낳고 6개월까지는 새벽 수유 때문에 피곤해서 관계를 피하게 되더라고요. 요즘도 남편에게 관계보다는 가만히 안아만 달라고 말해요. 사실 이런 일이 몇 번 반복되니까 좀 미안한 마음도 생기긴 해요.

-그리고 여자들은 애를 낳고 나면 애정의 중심이 남편에서 아이로 바뀌잖아요. 남자들은 그걸 잘 모르더라고요. (웃음)

 

워킹맘들이 일과 육아, 가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기리, 이승언, 이은경씨(왼쪽부터).cialis coupon free discount prescription coupons cialis trial coupon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dosage for cialis sexual dysfunction diabetes cialis prescription dosage
워킹맘들이 일과 육아, 가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기리, 이승언, 이은경씨(왼쪽부터).
cialis coupon free discount prescription coupons cialis trial coupon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dosage for cialis sexual dysfunction diabetes cialis prescription dosage
공동체 육아 시스템 있어야

-육아가 너무 힘드니 둘째 낳을 엄두가 안 나요.

-전 사실 마음만 먹었는데 생겼어요. 거의 성모 마리아 수준으로 둘째가 생기더라고요.(웃음)

-주변에서도 둘째는 사고(?) 치지 않는 한 맨 정신에는 못 낳는다고들 해요.

-요즘 TV에서 보건복지부의 ‘마더하세요’라는 캠페인 광고가 나오는데 참 싫더라고요. ‘마음을 더하세요’와 ‘엄마되세요’를 합친 말이라는데 광고에 나오는 회사 동료와 상사가 하필이면 모두 남자더라고요. 게다가 다들 엄마가 될 주인공을 위해 희생한다는 게 주 내용인데 참 씁쓸하고 ‘오버한다’고 느껴졌어요.

-서울시도 여행프로젝트라는 캠페인을 하고 있던데 사실 이런 저출산 구호나 캠페인은 그때뿐이지, 실질적인 효과는 없거든요.

-먼저 경력단절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야 출산휴가나 육아휴직도 마음 놓고 쓰죠. 제가 진짜 쉬다가 나와 보니 정말 아무도 안 써주더라고요. 기업에서 탄력근무나 시간제근무 같은 다양한 근무 형태를 시행하고 눈치 보지 않고 그런 제도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해요.

-그런데 기업 혼자 책임지도록 하면 기업이 봉사하려고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어떤 회사가 그런 제도를 만들겠어요. 정부가 잘하는 기업에는 세금 혜택으로 지원해주는 정책도 필요해요.

-남자도 6시 ‘땡’ 하면 집에 가고, 야근하는 게 대단하다고 여기는 문화도 바뀌어야 해요.

-저 사람 때문에 내가 손해 본다고 생각하는 분위기도 사라져야 해요.

-남의 아이가 잘 돼야 내 아이도 잘 크잖아요. 그게 바로 공동육아의 깊은 의미인데, ‘육아도 맞들면 낫다’고 하잖아요. 직장문화도 바뀌고 아이를 함께 키울 수 있는 시스템이 확대되면 저출산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엄마처럼 살고 싶다”에 ‘으쓱’

-항상 아이한테는 돈보단 엄마와 함께하는 시간이 더 선물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미안한 마음이 있죠.

-저희 친정 엄마는 이화여대 정외과까지 졸업하시고는 일을 그만두셔서 늘 안타까웠어요. 그것 때문인지 제가 더 악바리처럼 살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최근에 제 딸이 “크면 엄마처럼 살고 싶다”고 말하더라고요. 제가 이제껏 헛산 게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 제가 딸의 ‘롤 모델’이 됐다는 게 기분 좋더라고요. 남편도 아내가 집에서 자신만 바라보는 것보다 더 좋아하는 것 같아요.

-대한민국의 치열한 교육열은 고학력 주부들이 집에만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일자리를 쪼개든지, 다양한 근무 형태를 만들든지, 여성 고급인력이 사회로 나올 수 있어야 해요. 그러면 감정적인 낭비에 가까운 교육열과 아이에 대한 지나친 집착도 사라지지 않을까요.

-출산과 양육을 하면서 사랑과 감사라는 단어를 온전히 알게 됐고 삶에 대한 책임감이 이전과 전혀 달라졌어요. 출산의 경험이 일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요.

-죄책감과 부담감을 갖고 있을 수밖에 없는 워킹맘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의 결정에 믿음을 갖고 자신을 사랑하는 일 같아요. 또 동네에서 함께 아이를 키우는 마을 육아와 여성이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을

m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