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계가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 도입을 강력히 촉구한 가운데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선 ‘장자연 사건 재수사’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한창이다. 여성연예인인권지원서포터즈는 ‘고 장자연씨 죽음의 진실을 밝히고 책임자 처벌을 위한 서명을 부탁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온라인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3월 23일 오후 1시 30분 현재 4358명이 서명에 참여해 목표 1만 명의 43%를 달성했다. 다음 아고라에는 ‘故장자연 사건, 온 국민은 특검을 요구한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11일 시작돼 23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1254명의 네티즌이 서명에 동참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판정 후에도 ‘후폭풍’이 여전한 것은 전씨 편지 사건은 해프닝일 뿐, 사건의 본질은 아니라는 여론 때문이다.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에 지배계층을 재생산하기 위한 복잡한 매트릭스가 있음을 평범한 사람들도 다 알고 있다. 성상납을 통해 지속되고 재생산되는 권력이 존재한다는 믿음”이라며 “사람들은 그 매트릭스 안에서 돈과 자본이 거래되고 때론 여성 섹슈얼리티가 동원된다고 여긴다”고 말했다.

정미례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공동대표는 “권력층이 개입돼 있어 2년 전 경찰과 검찰이 부실 수사를 했다는 의혹이 여전한 상태”라며 “경찰이 의혹을 풀기 위해 전향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장씨 친필이면 수사하겠다는 ‘짜 맞추기식’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여론이 잠잠해지지 않고 있다”고 해석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조선일보 등 언론을 통해 장자연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이 실제 공개됐기 때문에 경찰이 수사 의지만 있다면 진실을 밝혀내기란 어렵지 않다”며 “그런데 장자연 사건은 덮어둔 채 편지 진위만 판결하곤 수사를 종결해 비난을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공교롭게도 ‘상하이 스캔들’과 비슷한 시기에 ‘장자연 사건’이 재점화되면서 이슈가 된 것은 성을 매개로 한 부패 현상은 용인할 수 없다는 여론이 공존했기 때문”이라며 “국회나 여성가족부,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재수사를 강력히 제기했어야 옳다. 지금이라도 재수사를 해서 관행대로 비윤리적인 성상납을 받으면 사회적 비난이나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