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여성 가족, 이 의원 모친의 ‘눈물’ 사죄에 고소장 취하해
이숙정 의원 “따로 드릴 말씀 없다. 확인해보고 공식입장 표명하겠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이숙정(36) 성남시의회 의원의 주민센터 여직원에 대한 폭언 사건은 여성정치운동에 심각한 고민을 안겨주었다. 여성 정치인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주목받는 상황에서 여성 정치인의 언행은 남성 정치인보다 두세 배 더 신중하고 성숙해야 한다는 오래된 교훈을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여성이라 더 가혹하다”는 말도 들을 수 있으나 이것이 현실임도 부정할 수 없다.

더구나 10일 현재 이 의원이 어떤 공식적 태도로 속시원히 보이고 있지 않은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이 의원은 여성신문과 전화통화에서도 “지금은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며 “확인해보고 공식입장을 표명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특히 향후 입장 표명에 ‘공식사과’가 포함되느냐는 질문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치학자나 여성정치단체들은 “일단은 공식사과를 하고 깨끗이 사퇴하는 것이 그나마 기존 남성 정치인들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 아니냐”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그러나 10일 현재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여성정치연구소, 여성유권자연맹 등 여성정치단체들은 공식 논평을 내지 않았다.

이번 사건에서 가장 충격적인 점은 이 의원이 ‘여성’이란 점뿐만 아니라 ‘진보정당인’ ‘30대’라는 참신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소유자라는 데 있다. 다른 여성 지방의원들조차 “처음엔 ‘여성’ 의원이라 가슴이 덜컥했으나 그보다 더 압도된 것은 민주노동당 출신이라는 점”이라고 입을 모을 정도다. 반면 여성 의원들이 이번 사태로 히스테리컬한 이미지로 비칠까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 오산시의원 김미정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크(전여네) 상임대표는 “정치 하다 보면 종종 일어나는 여야 간 몸싸움도 여성 의원이라면 더더욱 피해야 하는데, 정말 이 의원의 행동이 이해가 안 된다”면서도 “이번 사태를 ‘여성’ 의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개인적 차원에서 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재선의 조양민 경기도 의원(한나라당)은 “지난해 지방선거를 통해 진출한 새내기 의원이라 그런지 너무 기본자세를 모른 것 같다”며 “요즘 시대, 더구나 젊은 20대 여성이 어떻게 정치인의 이름을 알 거라고 생각했는지 모르겠다”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조 의원은 특히 초선 의원일수록 “내가 다 바꿀 수 있다” “내가 다 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 스스로 ‘완장’을 찼다고 자세를 높이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서경교 한국외국어대 교수(정치학)는  “이번 사태는 남녀·진보와 보수 정당 문제를 떠나 이념·정책 갈등만 치열한 정치권이 얼마나 공복(公僕) 정신에 충실했는지 자성해볼 기회”라고 강조했다. 진보신당도 사건 직후 논평을 통해 “나이, 직업 등 조건을 불문하고 타인에 대해 갖춰야 할 조그만 배려도 찾아볼 수 없었고 특히나 쥐꼬리만 한 지위라도 그것이 민중을 짓누르는 권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진보정당의 엄격한 도덕성도 물론 없었다”고 질타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지난 1월 27일 주민센터 공공근로(아르바이트) 여직원에게 자신의 이름을 모른다며 난동을 부렸고, 이 장면이 녹화된 폐쇄회로TV(CCTV) 화면이 1일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돼 파문을 일으켰다. 민주노동당 차원에선 보도 직후 이정희 대표가 공식 사과를 하고 최고위원회 긴급회의를 거쳐 제명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8일 경기도당 당기원회가 이 의원에 대한 처벌 수위를 확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7일 이 의원이 한마디 공식 사과 없이 당에 탈당계를 제출하는 돌발사태가 발생했고, 이후 9일 이 의원 모친의 호소로 피해 여성 가족 측이 분당경찰서에 접수한 고소장을 취하했다. 때문에 10일 현재 이 의원 징계 여부는 성남시의회의 몫으로 남게 됐다. 이에 앞서 성남시의회는 7일 홈페이지에 공식 사과문을 게재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빠른 시일 내에 윤리특별위원회를 개최해 절차에 따라 엄중한 책임을 묻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다른 지방의원들이나 정치학자들은 의회 차원에선 엄격할 수 있지만, 동료 의원들의 입장에선 제명 등의 초강경 처벌을 의결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많다. 최연희·강용석 국회의원 등 논란을 일으켰던 정치인들이 당을 탈당해 정치활동을 계속하면서도 특별한 제재를 받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정치 신인조차도 이런 구태를 따라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한다.

사건 직후 한 시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공무원들 모두 나를 힘들게만 하고 괴롭히려고만 한다”며 “일부에서는 민주당 쪽 입장만 따르라고 하면서 견제하려고 한다. 나도 지쳤다. 큰 미련도 없다”고 말했다는 이 의원. 정치에 “큰 미련도 없다”고 딱 잘라 말하기엔 지난 90년대부터 여성할당제를 내걸며 여성 정치진출을 일구어온 여성계의 노력이 너무 허망하지 않은가.

이 의원 사건은 4월에 실시될 성남 분당을 재·보선 선거에서 진보정당과 야권연대 그리고 여성 후보들에게 악재로 떠오를 것이 분명해 보인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