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30%대 지원자에게 “바닥 깔아주는 것밖에 안 되니 오지 마라”
최상위권 학생 중심 선발 위해 물밑작업…중위권 입학 막으려 ‘홀대’

 

자율형사립고가 본래 취지와 운영 원칙에서 벗어나 무리하게 운영해 수험생과 학부모들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의 한 자율형사립고.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cialis manufacturer coupon open cialis online coupon
자율형사립고가 본래 취지와 운영 원칙에서 벗어나 무리하게 운영해 수험생과 학부모들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의 한 자율형사립고.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cialis manufacturer coupon open cialis online coupon
지난해 서울과 부산의 일반계 사립고교 중 20개 고가 자율형사립고(이하 자율고)로 바뀌면서 본래 취지와 운영 원칙에서 벗어난 무리한 운영에 대해 직접 지원서를 제출한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또 자율고가 아닌 일반고 지원자들도 자율고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자율고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본지 교육지킴이 ‘안심해’가 조사했다.

서울 모 자율고에 지원서를 낸 중3년 오모 양은 자율고 상담교사의 홀대를 받고 눈물을 흘렸다. 중학교 내신 성적이 상위 30%대인 오양이 원서를 내려 하자 접수 교사가 “먼저 상담교사에게 가보라”고 했고 상담교사가 “너 같은 학생은 와도 바닥 깔아주는 것밖에 안 되니 오지 마라”고 했다는 것. 또 다른 여학생도 “상담교사에게 가라”는 말을 들었으나 상담교사가 “피곤하니 오늘은 그만”이라고 손을 내젓는 바람에 수모를 당하지 않고 지원서를 낼 수 있었다며 씁쓸해했다.

실제로 비인기 학군의 한 중학교 교사는 인근 자율고에 근무하는 선배 교사로부터 “그 학군 학생들은 인기 학군 학생들과 실력에서 비교가 안 되니 절대 학생을 보내지 말라”는 권고를 받았다며 허탈해했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중학교 교사들도 진학상담 시 내신 10% 이하 성적의 학생들에게는 자율고 지원을 하지 않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학부모들은 “애당초 50% 이내라는 규정은 빛 좋은 개살구”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입시 요강을 보더라도 자율고들은 내신 성적이 50% 이내면 지원이 가능하다는 자격 요건을 내걸고 있으나 한 자율고의 경우 지원 동의서에 ‘입학 후 각 과목 성적이 80점 이하면 F학점, F학점 3과목 이상이면 제적’이라는 규정을 두고 이에 서명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자율고에 지원하고 싶은 학생 중 성적이 중위권 이하 학생에게는 지원 자체를 망설이게 하는 대단한 심리적 압박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율고들이 최상위권 학생 위주 선발을 위해 물밑작업을 하는 파행 운영을 하고 있는데도 중위권 이하 학생들이 무리수를 두며 자율고를 가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하위권 자녀를 둔 학부모 박모씨는 “50% 이상 학생들만 선별하므로 면학 분위기가 생기고 일반고와는 다른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운영해 차별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교육비가 비싼 대신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처럼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의 입학 자체를 차단하고 이들을 홀대하는 입장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또 일반고의 3배에 이르는 비싼 교육비만큼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다는 기대에도 의문을 표시하는 학부모가 많다. 서울의 한 자율고 설명회에 다녀온 학부모 김모씨는 “학교에서 학부모의 뜻을 존중한다며 최대한 사교육을 받아 학생들의 성적을 높여달라고 하더라”며 “자율고가 비싼 교육비를 받고 제공하는 차별화된 교육이란 과연 무엇인가”라고 되물었다. 

자율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은 비단 자율고에 지원하는 학생뿐이 아니다. 많은 고교가 특목고, 특성화고 등으로 전환하고, 구별로 1~2개 고교가 자율고로 바뀌면서 인문계고로 진학해야 하는 대다수 학생들에게는 선택할 수 있는 학교가 대폭 줄어들게 됐다. 인문계고에 지원할 학생들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학군 내에서 두 학교를 지원하도록 돼 있으나 그나마 지원할 학교마저 줄어들어서 가까운 학교에 배정이 안 될 경우 다른 구의 학교까지 버스를 타고 가야 하는 실정이다.

자율고들의 이 같은 상위권 학생 끌어가기 파행 운영은 우려했던 대로 후기 인문계고 학생들을 ‘잉여인간’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폐단을 낳고 있다. 자율고가 애초에 수월성 교육을 표방하는 국가의 교육방침에 어긋난다는 반대가 있었는데도 이를 강행한 만큼 교육당국은 ‘학교 간 건전한 경쟁을 통한 공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자율고 본래의 취지를 살리도록 규정에 따라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