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2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다. 이번 회의에서 최대 쟁점은 환율문제다. 언론은 이를 ‘환율전쟁’이라고 부른다. 더 구체적으로는 중국 위안화의 가치를 높이는 것(위안화 절상)이다.

중국 위안화는 실제보다 가치가 낮게 평가돼 있다는 게 미국의 주장이다. 화폐 가치가 낮으면(이를 ‘환율이 높다’고 표현한다) 그만큼 수출 기업은 경쟁력을 갖게 된다.

위안화의 가치가 낮으면 중국 기업은 미국 수출에서 받는 달러를 중국 돈으로 바꿀 때 여유가 생기고, 그만큼 수출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이때 생기는 가격 경쟁력으로 중국산의 미국 수출은 더 늘어나면서 미국의 대중 적자는 더 커지게 된다. 그 해결책을 미국은 위안화 절상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는 환율을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맡겨두지만 중국은 정부가 통제한다고 보는 게 옳다. 미국의 거센 압력에 중국 정부는 환율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금리 인상을 선택했다. 위안화의 금리 인상은 위안화의 가치 상승과 연결된다. 환율상승 압력에 중국 정부가 일부라도 맞장구를 친 셈이다.

주요 2개국(G2: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위안화 절상 압력은 원화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원화절상, 환율하락). 수출 업체들은 같은 1달러어치를 수출해도 전보다 더 적은 돈을 버는 셈이다. 그만큼 수출 기업은 어려움에 빠진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는 악재다. 특히 위안화의 금리가 오르면 중국 기업들은 대출이자 부담 때문에 투자를 줄이고, 가계는 소비를 줄이면서 중국의 내수경기는 위축된다. 국내 기업들의 중국에 대한 수출 기회는 그만큼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최근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위축되고 있다며 그 대책으로 ‘내수산업의 육성’을 꼽았다. 총성 없는 환율전쟁의 피해가 본격화하면서 국내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것. 이는 한국은행이 거센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은 배경으로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