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남북정상회담, 여성계 대표 1명뿐

2000년 6월 12~14일 평양에서 열린 역사적인 첫 남북정상회담은 “여성들에게 상대적인 좌절감을 안겨주었다”(2000.6.16. 580호). 수행원 130명 중 ‘여성’ 몫으로 할당된 수는 단 1명(장상 전 이화여대 총장)이었기 때문이다.

기사는 ‘수’의 문제를 넘어 “남북통일의 역사적 과정에서 여성의 중요성이 경시됐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다고 말한다. 특히 그동안 민간교류를 통해 실제적인 대북지원에 앞장서온 여성 경제인의 참가가 전무하고, 여성 통일전문가가 포함되지 않았으며, 시민사회단체 대표 8명이 모두 남성이라는 데 이의를 제기한다. 여성계는 1991년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를 남과 북에서 개최하며 독자적인 통일창구를 개발해왔던 차였다.

기사는 이우정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수석대표의 말을 인용, “통일 후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여성들의 인권이 침해당하지 않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법·제도적인 조치들이 필요하며 이는 여성 내부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통일 과정에서 여성 소외문제 해결을 위해 기사가 제시하는 방안은 ▲실무단 구성에 여성 30% 참여 ▲여성 관련 의제 채택 ▲여성 기업인과 문화인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방북 경험 여성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과 연대 등이다.

2007년 10월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엔 대통령 특별수행원단에 3명의 여성계 대표가 포함됐으며(김화중 한국여성단체협의회장, 정현백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김홍남 국립중앙박물관장) 여성의제가 공식 분과에서 논의됐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