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원장 김태현)의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과 일, 현실과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개최된 여성정책포럼에서 베이비붐 세대 여성들이 신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올해부터 본격화되는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맞물려 가구의 생계책임자가 남편이든 여성이든 또는 맞벌이든 간에 경제적 어려움은 필연적이고, 따라서 이런 상황을 감안해 효율적인 여성 빈곤정책이 개발되고 실행돼야 한다는 것.  

발표에 나선 민현주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11년 동안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26.9%가 지속적인 실업이나 비경제활동 상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26.4%의 여성이 지속적으로 무급가족 종사자의 상태를 유지했다. 이 세대의 절반 이상인 53.3%가 실업상태이거나 급여를 받지 못하는 노동 조건에 있었다는 얘기다. 반면 같은 기간 남성의 경우는 상용직에 지속적으로 취업하고 있는 비율이 38.1%, 지속적인 실업/비경제활동상태 집단은 5.3%로 나타나 여성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지난 6월 말 발표된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베이비붐 세대 실태 조사결과’에서도 ‘낀 세대’로서 베이비붐 세대의 36.4%가 ‘노후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응답했고, 남녀 모두 50% 이상이 ‘건강이 허락할 때까지 일하겠다’고 밝혀 이들에 대한 경제적 대책이 절실함을 시사한다.

손유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은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 대책으로 “고용연장 제도, 전직 지원서비스의 다양화, 중고령자용 맞춤식 서비스” 등의 정책 제언을 내놓았다. 이철선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퇴직자에게 맞춤화된 전직 컨설팅 제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태환 노동부 장애인고령자고용과 사무관은 “현재 정부는 정년연장, 계속고용 및 임금피크제 확산 등의 정책과 함께  실직 고령자에게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제공하고 창업도 돕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비붐 세대’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 2010년 현재 712.5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14.6%에 해당하는 거대 인구집단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