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시범운영 결과 수요 쇄도…사회복지 분야로 확대 시행을

 

 

유연근로제의 일환으로 도입된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이 시행 100일을 맞았다.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유연근로제의 일환으로 도입된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이 시행 100일을 맞았다.

서울 서부고용지원센터 취업지원팀 내 디딤돌일자리팀에서 근무하는 이모(44)씨는 10년 전만 해도 대기업에서 노무업무를 담당했던 커리어우먼이었다. 결혼을 하며 8년간 근무했던 회사를 그만두면서 경력이 단절됐다. 직장을 그만둔 지 10년 만에 평소 관심이 많았던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관련 분야에서 일하게 됐다. 계약직 사회복지사로 2년간 근무한 이씨는 정규직으로 일하며 장애가 있는 친정어머니를 모시고 싶어 단기간 상용 직업상담원에 지원했다. 기관에서는 퇴근 시간을 철저히 지켜주는 편이라 다른 직원에 비해 늦게 출근하고 빨리 퇴근하는 것도 눈치 보지 않을 수 있다. 야근이 잦았던 예전 직장과 비교하면 연장근무도 한 달에 평균 10시간 정도로 적은 편이다.

시행 100일을 맞은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이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노동부는 지난 2월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제도’를 처음으로 도입, 시범운영으로 88명을 채용했다. ‘단시간 상용’ 근로제의 가장 큰 특징은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단시간 근무하지만 비정규직이나 저임금이 아닌 정규직에다 정년이 보장되는 ‘양질’의 일자리라는 점.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 해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위한 유연근로제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은 노동부 고용지원센터에서 고용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하루 5시간만(점심시간 제외) 근무하지만 정년이 보장된다. 게다가 급여는 근로시간에 비례해 받지만 전일제 직업상담원의 보수 및 호봉 체계가 적용되며, 상여금, 가족수당 등 각종 처우도 일반 정규직과 동일하게 보장받는다. 지난 2월 90명 모집에 총 2475명이 지원했고 이 중 여성 지원자가 2152명에 달하는 등 호응이 뜨거웠다. 특히 최종 합격자의 92.1%인 82명이 3040 여성으로 나타났다. 노동부 관계자는 “여건만 되면 노동시장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경력단절 여성이 대부분”이라며 “이들에게 매력적인 일자리로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소개한 이씨의 사례처럼 “노동부 자체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직업상담원들은 단시간 근무라는 근무 조건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고 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과 김순재 사무관은 밝혔다.

하지만 일부 직업상담원 사이에서는 임금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도 있었다. 한 직업상담원은 “상용직이지만 일한 시간에 비례해 월급을 받기 때문에 이전에 받는 것에 비해 적은 편”이라며 “앞으로 아이가 고등학교, 대학교에 들어가면 그만큼 교육비 등 비용도 만만치 않게 드는데 지금의 월급 수준으로는 충당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토로했다. 현재 단시간 상용 직업상담원이 받는 월급은 전일제 직업상담원의 63% 정도 수준인 120만원 정도다. 김 사무관은 “향후 제도가 안착하면 월급 수준에 대해서도 논의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김 사무관은 “채용이 끝나고 난 후에도 문의 전화가 이어질 정도로 여성들이 큰 관심을 보인 만큼 예산이 확보되면 앞으로도 계속 확대해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태홍 일·가족정책연구실 실장은 “근로시간과 임금은 비례하기에 단시간 근로자의 임금 상승은 전일제 근로자의 임금 상승으로 자연스레 이어진다”며 “이보다는 단시간에서 전일제로 전환이 용이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 실장은 이어 “사회복지와 관련한 업종에서 일자리 창출이 많으므로 공공 분야를 중심으로 전일제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며 “이때 전일제 일자리를 둘로 쪼개는 것보다는 주 50~60시간 이상 일하는 장시간 일자리의 전체 근로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