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생들을 위한 ‘금융교육 표준안’을 만든다고 한다. 주체는 금융감독원, 목표 시점은 오는 11월이다. 이 계획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학생들을 위한 금융교육안이 없어서 교육현장에서 금융교육을 하는 데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금융감독원의 이번 발표는 최근 부쩍 높아진 정부 주요 기관과 산하 단체들의 경제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한국은행은 전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경제교육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곳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지원하고, 이번처럼 금융교육 표준안을 만든다고 할 정도로 의욕적이다.

한 증권 관련 정부기관은 ‘경제교육의 전개’를 목적으로 재단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 방학이면 양손을 다 꼽아야 할 정도로 여러 곳에서 ‘교사들을 위한 경제와 금융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경제교육’에 쓰는 돈은 정부 기관만 해도 연간 수백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민간 경제단체까지 포함하면 경제교육을 위한 관심과 투자는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라는 관계자들의 지적이 결코 과장이 아닌 게 우리의 현실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번 짚고 넘어갈 게 있다. 이런 모습이 꽤 오래된 일인 데도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제 및 금융 관련 지식이나 인식은 몇 년째 별 진전이 없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학생들을 현장에서 직접 만나면서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보여주기 위한 교육’ 위주라는 것이다.

‘사진거리’가 되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경제교실’에는 수억 원씩 쓸 수 있지만 학생들이 두고두고 이용하고 배울 수 있는 제대로 된 콘텐츠 개발은 후순위다. 교재를 개발한다 해도 ‘교과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주요 과목이 아닌 경제와 금융 교재를 만든다고 관심 갖고 배울 학생도 없고, 가르칠 교사를 기대하는 것도 우리 교육 현실에선 무리다.

표준안 개발, 교사 연수, 경제교실 등 다양한 노력이 효과를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엇보다 대상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재와 교구 개발이 필요하다. 주요 기관과 단체에서 그동안 만든 교재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 눈높이 맞추기에 실패했다.

교사 양성도 필요하다. 학생들에 대한 경제교육은 경제학보다 생활 경제, 실용 금융 교육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역사, 지리, 법 등 다른 사회 과목과의 ‘형평성 논쟁’에서 경제가 승리할 가능성 없는 현실에선 정규 교과과목보다 방과 후 학교나 학교 밖 교육이 더 현실적이다.

따라서 경제교육은 전공자나 전문가의 몫에 매달릴 일이 아니다.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사람들이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교재와 교구로 다가갈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게 현실적이다. 이 같은 대안은 경력단절 여성, 대학 졸업 미취업자들에게는 새로운 일자리가 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대한민국 경제교육의 확산,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도 될 것이다.

물론 교사 교육은 중요하고, 또 필요하다. 올 여름방학에도 많은 기관에서 교사 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연수 대상을 교사로 하는 이유는 그 효과가 학생들에게 파급되기를 바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제는 교사 연수 자체가 아니라 연수를 받은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을 둘 때가 됐다. 올 여름 교사 대상의 경제 연수 프로그램의 변화를 기대해본다.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