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새롭게 직제를 개편하고 재탄생한 여성가족부가 사회 각계의 문제에 대해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고 정책 제언을 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여성의 사회참여, 아동·청소년을 겨냥한 강력범죄, 다문화가족 정착지원 등이 이슈화되면서 여성가족부의 정원과 예산이 크게 늘어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중앙부처 최초로 여성 대변인을 임명하고, 성범죄자 신상문제부터 청소년 게임 규제까지 활동의 폭을 넓히며 여성과 가족의 회복, 그리고 사회 전체의 복지를 위해 땀 흘리는 모습은 아름답기까지 하다. 이러한 여성가족부의 노력이 어서 많은 결실을 보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그러나 한편, 현재 여성가족부의 역할이 약간은 제한된 영역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기도 하다. 여성가족부가 다루어야 할 영역으로는 다문화 가정의 여성이나 성폭력 피해 여성, 미혼모 등 사회적 소수자로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의 문제도 포함되지만, 일반 전업주부나 전문직 여성들의 문제도 도외시돼서는 안 된다. 여성과 가족이라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면서도 다양한 영역의 문제와 현안이 결부된 것이므로, 보다 넓은 시야에서 전 방위적인 정책 시행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전문직 여성들의 고위직 진출의 문제는 긴급성 면에서 소외되고 있으나, 그 중요성은 어떤 문제 못지않게 크다고 하겠다. 유엔개발계획(UNDP)이 발표한 2009 여성권한척도(GEM) 지표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회지도층에서 여성의 비율이나 영향력은 134개국 중 여성 의원 69위, 여성 행정관리직 102위, 여성 전문직 89위로 매우 낮다. 이는 국가경쟁력 강화에 치명적이다.

현재 과학기술계의 여성들은 여성의 지위를 높이고 고위직에 진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여과총) 역시 각 기관에 공문을 보내고 인력풀을 제공하는 등 이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여성이 고위직에 진출해 사회적 리더로 가시화되는 것은 비단 전문직 여성들뿐 아니라 전체 여성의 지위 향상과 사회적 인식 제고에 매우 필요한 일이다. 프랑스나 노르웨이 등은 이에 대한 사회적 프로그램을 이미 마련했다. 프랑스는 2015년까지 기업 임원의 절반 이상을 여성으로 채우도록 하는 법 제정을 추진 중이며 노르웨이는 기업 내 양성평등법을 실시해 각 기업들의 여성 임원 비율의 44.2%로 급상승하는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이는 긴 안목으로 보았을 때 여성 고위직의 진출과 비율 확대가 여성과 그리고 나아가 전체 사회의 발전과 행복을 위한 길임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가족부가 여러 긴급한 사회적 현안들을 껴안으며 노력 중임을 매우 잘 알고 있다. 이제 이러한 노력에 보다 장기적인 안목의 비전을 가지고 고위직 여성, 특히 과학기술계의 전문직 여성들의 리더 양성을 위해서도 힘써주기를 부탁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