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통해 정보 얻는 취재시스템은 정부의 대북관 그대로 투영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한 말이다. 어디 문화유산을 볼 때만 그러할까.

지난 19일 <동아일보> 1면에는 ‘북(北)정치범 수용소 <충격의현장> 첫 촬영’이란 머릿기사가 실렸다. 한 한국인 사업가가 북한 남포 근처 바닷가에서 촬영한 비닐 움막촌이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라는 보도였다.

그러나 22일 저녁 KBS ‘일요스페셜-97, 북한 지금 무엇이 일어나고 있나’에서는 같은 장면이 ‘이재민수용소’로 설명되었다.

어느 쪽이 진실일까? 북한관련전문가 및 북한관련 전문기자, 탈북자 등은 ‘이재민수용소’란 해석에 동의하고 있다. ‘정치범수용소 4㎞인근에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데다‘ 비디오테이프 원본에 찍혀 있는 대학연대라는 표어는 북한대학생들이 지원을 나갔을 때 적는 것으로 정치범 수용소에 대학생들이 지원을 나갔을 리가 만무’라는 것이다. 결국 <동아일보>기사는 오보로 밝혀졌다.

북한 관련 기사에서 오보는 그리 뜸하지 않게 나타난다. 지난 달 말일, 석간인 <문화일보>와 <국민일보>에는 ‘북한군이 WFP 등 국제기구가 지원한 곡물을 총을 들고 강탈했다’는 내용이 1면 사이드톱으로 실렸다. 다음날인 6월 1일엔 포르투갈 한 일간지의 관련 보도를 연합통신발로 받은일부 조간신문이 이를 1면 주요기사로 다뤘다. 그러나 외무부와 민간단체가 WFP에 확인한 결과 언론사의 이 보도는 오보로 밝혀졌다. 북한 내부의 상황을 잘 모르는 외국 언론이 보도한 내용을 확인 없이 그대로 받아 실으면서 비롯된 일이었다. 그럼에도 1면 기사와 사설로 크게 다룬 문화·서울·세계·중앙일보 등은 이후 정정보도를 내지 않았다.

북한 관련 오보는 취재시스템 자체의 헛점에서부터 비롯된다. 북한은 국가보안법상 ‘적’이기 때문에 직접 취재는 원칙상 불가능하다. 결국 정식통로로는 내외통신, 안기부와 외무부 등 정부기관을 통해 정보를 얻을수 밖에 없어 언론에 정부의 대북관이 그대로 투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각 언론사에서 북한을 담당하고 있는 기자 수는 기껏해야 두명, 많아야 여덟명 정도. 전문인력이 부족하니 어처구니 없는 기사들이 속출하는 것도 당연 하다는 것이 현업기자의 평이다.

갈 수 없으니 확인 할 수 없다는 취재시스템뿐 아니라 센세이셔널리즘적인 보도 태도도 문제다. 일단 터뜨리고 보자는 식의 보도 태도는 오보의 가능성을 한껏 높인다. 그러고도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언론사들의 오만함은 대북 보도의 신뢰성을 더욱 떨어뜨린다.

알고자 하는 마음은 애정에서 비롯된다. 언론사가 진정으로 한반도 북녘에 애정을 가지고 있다면 제대로 알려는 노력부터 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높은 휴전선 너머도 ‘보일’것이다.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