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희생 장병들의 영결식이 국민들의 깊은 애도 속에서 끝이 났다. 영결식 이후 여야 정치권은 6·2 지방선거에 본격 돌입할 태세다. 무엇보다 이번 선거의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5월 3일 국민경선방식으로 후보를 선정하고, 민주당도 100% 여론조사로 후보를 뽑기로 했다. 다만, 민주당의 경우, 일부 예비후보들이 경선에서 TV 토론 실시를 줄기차게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민주당 지도부에 “경선용 TV 토론은 본선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깔려있는 듯하다.

한명숙 전 총리의 후보 낙점이 유력한 상황에서 미리 전략과 전력을 노출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 같다.

이에 대해 이계안 후보 측은 “자기가 속한 당 사람과 경쟁하지 못하면 다른 당 후보와는 어떻게 경쟁을 하나”라고 비판했다.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나섰다가 당의 경선 규칙에 불만을 토로하며 중도 하차한 김성순 의원도 비판에 동조했다.

“열띤 토론을 거쳐 민주당에서 누가 나가더라도 무장한 후보가 나가야 하는데 이제는 누가 나가도 무장해제로 나가고 있다”며 “무장 해제된 장수가 어떻게 이길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정동영 의원은 “당 지도부는 경선의 원칙(룰)을 정하고 이를 공정하게 관리하며 이 같은 원칙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아쉽다”며 “이는 국민이 바라는 수권정당의 모습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지도부와 한 전 총리 측은 이런 비판들을 겸허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도 국민경선을 통해 후보로 결정됐다.

어떻게 보면 민주당은 ‘국민참여경선제’라는 새로운 정치실험을 통해 국민의 비상한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냈고, 그것이 대선 승리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국민참여경선은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정치 브랜드일지 모른다. 그런데 이번 서울시장 경선에서 이러한 전통이 편의주의에 의해 실종된 것은 참으로 유감스럽다.

조선일보와 한국갤럽이 지난 4월 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나라당에서 오세훈 시장이 나설 경우엔 지지율이 48.5%로 한 전 총리(36.6%)를 크게 앞섰다. 더욱 주목해 할 사항은 투표율이 높은 50대 이상의 고연령층에 ‘여권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법원 판결 이후 한 전 총리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비율이 25.8%로 ‘좋아졌다’(19.7%)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여성(28.0%)과 가정주부(38.0%) 층에서 ‘나빠졌다’는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론 여론조사는 현재의 스냅 사진에 불과하고 시간이 흐르면 변화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다고 저절로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기득권을 과감히 포기하고 정도를 걸으면서 국민에게 감동을 줄 때만이 변화가 시작된다. 그것이 노무현 정신이다. 지금 한 전 총리에게 필요한 것은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아름다운 경선이 이뤄진다면 열 번이고 백 번이고 TV 토론에 응하겠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이다.

“원칙 없는 승리보다 원칙 있는 패배가 낫다”는 신념과 함께 “버려야 채울 수 있다”는 진리를 깨달아야 할 것이다.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