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호’지방의원 만들기 프로젝트 등 전개

국제결혼 이주 여성 의원 만들기와 재외국민 여성유권자운동 등 국내외 이주 여성들의 정치참여를 확대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한국여성정치연구소(소장 김은주)는 지난 6월 22,23일 서울여성플라자 아트컬리지에서 ‘2010지방선거, 제1호 국제결혼 이주 여성 의원 만들기 프로젝트’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구소가 ‘다양한 하나의 사회, 다인종·다민족 문화가 서로 존중받고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추진하는 의식계몽운동 ‘다·하·나’ 프로젝트 중 하나다.

지난 2008년 여성부의 후원으로 시작, 지방정치에 관심 있는 이주 여성들을 발굴해 내년 지방선거를 통해 의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결혼이주 여성들로 하여금 한국 정치사회에 대해 정치적 존재로서 그들의 중요성과 정치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지역사회의 당당한 민주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는 취지를 갖고 있다. 이번 교육에서 이주 여성들은 한국의 지방의회, 선거, 정책, 민주주의 문화 등을 배우고 국회의원이나 정당 관계자들의 강연을 통해 한국 정치를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다.

한편 같은 날 오전 국회에서는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 유권자운동의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박진 한나라당 의원이 준비한 이번 자리에서는 재외국민에게 2012년 총선과 대선부터 투표권이 주어지면서 한인사회 여성 유권자들의 역할에 관심이 주목됐다. 이날 발제자로 참석한 박화서 명지대 사회교육원 이민학 교수는 “우리 국민의 해외이민은 ‘자녀 교육’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분석되고 있다”며 “가정에서 자녀를 주로 담당하는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이 재외국민 선거에 미칠 영향은 참으로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민은 남성 중심 과정이 아니고 여성의 영향이 더 큰 쪽으로 변화됐다”며 “여성 이민자는 모국과 거주국을 가족, 지역사회를 통해 연결하고 자녀 양육을 담당함으로써 민족 네트워크와 모국 역사를 잇는 연결고리가 된다”고 주장했다.

이민이 개인이 경제적 이유 때문에 결정하거나 국가가 노동력 수급을 위해 수립하는 이민정책에 의해 발생되는 경제적·정치적 이유가 원인이라는 종래 시각에서부터 벗어나 가족 결정에 의해서 발생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여성 이민자는 가정의 구심적 인물로서 이민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족과 친지 등 주변 사람들을 이민시키거나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서 유지·발전시킨다”며 “재외국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문제에 있어서 여성 이민자와 단체 등과의 네트워킹은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