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 1100일 단식 77일…병원 박차고 다시 농성
8월6일부터 시민 150여명 단식·촛불문화제 동참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기륭전자 농성장에는 매일 저녁 투쟁승리를 위한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김소연(오른쪽 앞) 분회장의 단식 77일째인 지난 26일, 많은 시민들이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기륭전자 농성장에는 매일 저녁 투쟁승리를 위한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김소연(오른쪽 앞) 분회장의 단식 77일째인 지난 26일, 많은 시민들이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sumatriptan 100 mg
cialis coupon free cialis trial coupon
ⓒ여성신문 민원기 기자
지난 2005년 당시 법정 최저임금보다 10원 많은 월 64만1850원을 받으며 일했지만 일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으로 여겼던 200여 명의 기륭전자 여성 노동자들은 어느 날 청천벽력 같은 해고통지 문자 메시지를 받는다.

“내일부터 회사에 출근치 마시고 궁금하신 사항은 전화주세요.” 그렇게 시작된 복직투쟁이 어느덧 3년을 넘겼다. 반드시 일터로 돌아가겠다는 희망 하나 뿐이었는데, 아직도 그 바람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 긴 시간을 증명이라도 하듯 ‘비정규직 철폐하라’고 적힌 빛바랜 깃발이 서울 가산동 기륭전자 본사 앞 농성장 곳곳에 나부끼고 있었다. 투쟁 1099일째, 그리고 목숨을 건 단식 77일째를 맞은 지난 8월 26일 저녁. 오후 7시가 되자 촛불이 하나둘씩 켜졌다.

여름의 끝자락, 어느새 저녁이면 차가워지는 아스팔트 위에 100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앉았다. 대학생, 아이들과 함께 나온 엄마들, 조합원, 신부님과 수녀님 등 다양한 시민들이 꾸리는 ‘기륭전자 투쟁을 지지하는 촛불문화제’다.

병원에 후송됐다가 일주일 만에 다시 농성 현장으로 돌아온 김소연 분회장도 자리에 앉았다. 의학적 한계를 넘어서 폐에 물까지 찬 상태지만 단식은 끊지 않은 채 병원에서 강제로 놓은 링거에 몸을 의존하고 있었다. 행여 부러질세라 그의 작은 어깨를 만질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수많은 시민들이 “힘내라”는 말을 건넨다.

김 분회장은 화답이라도 하듯 입을 열었다.

“단식 80일째가 다 되어가는 지금, 다시 한 번 병원을 박차고 농성장으로 돌아와 단식농성을 하는 것으로 우리의 결의를 보여야 하는 현실에 눈물이 앞섭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겁니다. 이 많은 시민의 참여를 통해 희망을 잃지 않고 꼭 현장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 희망은 다름 아닌 ‘사람’이다. 김 분회장과 유흥희 조합원이 병원에 있는 동안에도 농성장을 굳건히 지킨 이들, 바로 ‘기륭전자 릴레이 동조단식단’(cafe.daum.net/kirungRelay) 회원들이다.

온라인 카페에서 만나 지난 8월 6일부터 시작된 이들의 릴레이 단식에는 지금까지 150여 명의 시민이 참혀했다. 퇴근 후 찾아와 밤새 단식하고 출근하는 이들도 있고, 며칠간 머물며 단식에 동참하고 있는 학생도 있다.

무엇보다 현장에 오지 못하더라도 일상에서 동참하는 이들의 참여가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리고 있다. 지금도 카페에는 ‘3일간 점심단식 참여합니다’ ‘이틀 자율단식 참여합니다’ ‘매주 월·화 자율단식 재참여합니다’라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두 아이와 함께 일주일에 한 번은 꼭 농성장에 들르는 배주영(33)씨는 지난 11일 현장단식에 참여한 이후 일상에서 계속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하루에 한 끼 단식하기, 주말 이틀 단식하기 등 방법은 다양하다.

그는 “최근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에 참여하면서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해고당해 복직투쟁 중인 기륭 사안을 알게 돼 단식에 동참했다”며 “아이들을 위해 촛불을 든 것처럼 비정규직 현실이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되지 않길 바라며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곧 개강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의 릴레이 단식도 이어지고 있었다.

1박2일 단식에 참여 중인 새내기 대학생 이찬미(20·경희대)씨는 “직업엔 귀천이 없다는 교과서 내용과 달리 너무나 불합리한 비정규직, 파견직 노동자들의 현실 앞에 단식을 안 할 수 없었다”며 “뭐라도 하지 않으면 너무 답답해서 하루 단식 중이지만 80일 가까이 단식하는 노동자들의 마음은 감히 헤아릴 수가 없다”고 심정을 전했다. 

‘우리가 기륭이고, 기륭이 우리다’라며 두 번째 열흘 단식을 시작한 에세이스트 김현진씨는 지난 7월 29일 기륭전자 농성장에서 벼룩시장을 열었다.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노동자들의 생계비 지원을 위해서다. 그는 여러 곳에 도움을 청했고 문학동네, 부키, 청림출판, 파란미디어 등 여러 출판사와 시민들이 도움을 줬다.

김현진씨는 “벼룩시장을 연다고 하자 자신이 갖고 있는 옷, 책, 물품들을 보내겠다는 시민들의 연락을 받으며 다시 한 번 희망을 봤다. 사진작가 이연 씨와 함께 기륭투쟁을 영상으로 담아 외국에도 알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촛불문화제에 이어 진행된 천주교 시국미사에서 김정대 예수회 신부는 “우리의 몸 한 곳이 조금이라도 아프면 느낄 수 있듯이 하나의 유기체인 사회가 힘없는 자들의 아픔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비정규직이 우리 모두의 문제인 만큼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기륭전자 투쟁이 반드시 잘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간절한 바람이 담긴 말이었다. 

눅눅한 6월의 독기를 견디며 피어나는 때늦은 진달래처럼, 3년이 넘는 시간동안 기륭전자 여성 노동자들과 그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은 저물지 않고 있었다.

이대로 질 수 없다는 신념과 반드시 현장으로 돌아가겠다는 희망 하나로 말이다.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