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 사이도 양극화 발생"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의 사회적 이슈다. 특히 아시아 내에서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주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아시아 현장으로의 접근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달 30일 ‘다문화적 관점에서 본 이주와 젠더: 아시아적 경험을 중심으로’라는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싱가포르와 필리핀 내 이주 사례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싱가포르에서 이주노동자의 권리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는 누라스킨 압둘라만 박사는 싱가포르 내 이주를 둘러싼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전했다. 국가건설 초기단계부터 이주노동자에 대한 개방정책을 펴온 싱가포르는 현재 전체 근로자 중 33%에 해당하는 273만 명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이다.

누라스킨씨는 싱가포르의 이주 현상 중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호주, 뉴질랜드, 독일, 프랑스 등 서구 국가에서 온 사람들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정부가 전문직 또는 숙련노동력 유치에 대한 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 위해 월소득 수준에 따라 다른 체류허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공급이 부족한 3D 업계를 중심으로 이주노동자의 유입이 줄지 않고 있으며, 특히 17만 명에 이르는 이주여성들이 전일제로 근무하는 가사도우미나 노인 간병인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이주문제와 관련해 싱가포르 정부는 공동주택 거주권을 둘러싸고 내국인과 외국인들의 갈등이 심화되자, 2006년 외국인들의 주택소유권과 의료보장권도 인정하지 않는 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는 외국인 노동자들 사이에서도 양극화 문제가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누라스킨씨의 지적이다.

필리핀의 경우는 1989년부터 1999년까지 17만 명이 외국인과 결혼했는데 이중 91%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0년과 2004년 사이 한국, 대만, 중국인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평균 연령은 26.47세인 조사 결과도 발표됐다.

필리핀에서 결혼이주를 택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빈곤과 연령 증가에 따른 결혼 압력으로 인한 것이 많았고, 외국인과의 결혼은 일반적으로 결혼대행업체나 브로커 알선 등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한 엘머 마리바리언 결혼이주문제위원회 연구위원은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들이 언어장벽, 문화적 차이, 전통 여성상에 대한 기대 등으로 차별을 겪으며 어려움에 시달리고 있는 사례를 많이 접한다”며 “결혼이주 여성을 당당한 주체로서의 여성으로 바라볼 줄 아는 시각이 필요하며 이들이 사회적 욕구가 억압되어 있을 때 도와줄 수 있는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