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 로컬푸드 정책 관련 콜로키움 개최

최근의 애그플레이션 위기, 새우깡과 통조림에서 발견된 불순물 등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원장 홍철, 이하 대경원)은 지난 8일 ‘외국의 로컬푸드 정책과 시사점’을 주제로 ‘대경 콜로키움’을 개최했다.

농업인의 영농위기, 소비자의 식품 안전에 대한 불안감, 국가 수준의 식량주권 위협 등은 세계 식량체계에 의한 글로벌푸드 때문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과 먹을거리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로컬푸드시스템(Local Food System)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한국의 슬로푸드 운동을 주도하면서 국제슬로푸드운동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종덕 경남대 문과대학장이 발제를, 박재홍 영남대 식품산업경영학과 교수가 토론을 맡아 대구·경북지역에 적합한 로컬푸드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김종덕 학장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일본, 이탈리아, 브라질의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로컬푸드정책을 소개하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 정부의 농업정책이 규모 확대에만 매달리고 부족할 때는 수입농산물로 대체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을 등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로컬푸드를 장려하는 정책과 법의 부재, 그리고 로컬푸드 확산을 막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식품가공법으로 인해 지역농산물의 소규모 가공·판매를 법으로 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농업 회생과 좋은 먹을거리 확보를 위해 로컬푸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외국에서도 오가닉푸드보다 로컬푸드가 더 친환경적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신선하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이고 지역경제에 이롭게 작용하는 로컬푸드 정책을 확대해나가기 위해 중앙정부는 미국·이탈리아·일본의 법을, 지방정부는 영국과 브라질의 법을 토대로 법과 조례를 제정해야 하며, 식품가공법 또한 개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병규 박사(대경원 문화웰빙연구실장)는 “대구·경북이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 통합의 연계성을 높여가고 있지만 푸드시스템의 공유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생산자에게는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가져오는 생산·소비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정책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